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04358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저자

    양영환                                       

  • 형태사항

    vi, 7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일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전공 2016.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임상시험 수행에 있어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상자 모집은 임상시험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점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의뢰...
  • 임상시험 수행에 있어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상자 모집은 임상시험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점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의뢰자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대상자 모집 방식을 의뢰자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자 모집과 관련된 각국의 주요 사업 및 정책 등을 살펴보고 설문을 통해 대상자 모집의 방식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대상자 모집 관련된 주요국 및 국내의 사업 및 정책을 비교하기 위한 문헌고찰과 대상자 모집 방식 파악 및 대안 모색을 위한 설문조사로 구성하였다. 문헌고찰은 먼저 국내·외 임상시험 실시경향을 분석하고 대상자 모집 관련 국내외 정책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설문조사는 일반정보, 대상자 모집 관련, 임상시험 전반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환자 중심적 접근의 CNRCC, 임상시험 전단계에 걸친 대상자 참여를 강조하는 CTTI 등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대상자 모집 과정 개선을 위한 여러 제도 및 공약을 내세우고 있으며 최근 미국에서는 임상시험의 현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대상자 모집 개선 또는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에서 5년간 승인된 임상시험 계획 중 이미 종료된 임상시험(1상)을 대상으로 5건 이상 종료경험이 있는 제약사 및 CRO 기업(34개)를 대상으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총17개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기업 중 35.3%가 대상자 모집 실패 및 지연으로 인해 조기종료를 경험하였고 계획된 일정대로 임상시험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가 41.2%로 연구자의 자원 미확보 및 의지, 노력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었다. 국내외 제약사의 경우 대상자 모집 증진을 담당하는 부서는 전혀 없었고 모집 전략을 보유한 기업은 약 60%에 달하였다. 국내 임상시험 관련 규정에 의해 대상자 모집 (광고 등)은 시험책임자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져 있다는 점에서 병원 또는 연구자를 활용한 방법이 대부분(8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지역사회 또는 환자단체와의 네트워크 활용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여 실제 모집 방법의 이용 빈도와 그 효과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발행년 2016 

  • 조회 수 330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박예지

발행년 2016 

  • 조회 수 17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25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5

18 인체실험 진통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주정흔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65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발행년 2016 

  • 조회 수 45

18 인체실험 만성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금전적 보상에 대한 태도와 참여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7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발행년 2016 

  • 조회 수 71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발행년 2015 

  • 조회 수 181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347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5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실시기관의 임상시험윤리교육 현황 조사 연구 / 김미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4

18 인체실험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김대건

발행년 2015 

  • 조회 수 360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발행년 2015 

  • 조회 수 512

18 인체실험 Assessing State Stem Cel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ow Has State Funding Affected Publication Trends?

발행년 2015 

  • 조회 수 92

18 인체실험 Gamete Donor Consent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발행년 2015 

  • 조회 수 217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