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49773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Une étude de la problématique du corps dans l'éthique biomédicale : à travers la confrontation avec la phénoménologie



저자

윤성우(Seong-Woo, YUN)

학술지명

철학탐구

권호사항

Vol.23No.-[2008]

발행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7-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05

주제어

신체,자율성,자기 신체,노력,지각,의지,건강,corps,corps-sujet,autonomie,effort,perception,volonte,sante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대 중요한 철학적 담론들 중에 하나로서 자리잡은 ‘생명의료 윤리학’(biomedical ethics)에서 신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고 있는지를 밝혀내되, 현상학과의 비판적 대면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현미경과 실험 공간속으로 환원된 신체의 일부는 실상 세계 속에서 노력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는 그런 신체가 더 이상 아니다. 나는 나의 DNA와 그 어떤 체험적 관계를 맺지 못한다. 나의 두개골 안에 있는 뇌(腦) 역시 나와 그런 관계에 놓여 있지 못하다. “나의” 두뇌라는 말에서 “나의”는 “나의”손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닌 것이다. 반면 나의 손, 발, 심지어는 엉덩이와는 모종의 체험적 관계를 가지며, 나의 세계-내-존재 방식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끼친다. 어떻게 보면 생명 의료적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아픈 몸이나 병든 신체는 노력의 체험, 자각활동 그리고 의지활동에서의 주체로서의 신체에게 일종의 장애나 결여가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픈 몸은 내 욕망, 내 지각, 내 의도를 세계 속에서 즉각적으로 실현시키는 “직접적 행위자”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의사가 이때 의학적으로 개입하게 되어 이 직접성이나 신체의 주체성을 회복시켜 주는 것을 도와야 한다. 따라서 생명의료 윤리학은 이 주체적 신체의 진정한 복원에 앞서 아픈 몸이 비윤리적인 실험적 조작이나 의료적 처치의 대상으로 전락되지 못하도록 감시하고 비판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결국 생명연구 및 의학적 상황에서의 신체 담론은 먼저 -의식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생명의료 윤리학의 신체 담론에 의한 1차적인 비판을 거쳐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현상학적 신체의 복원을 종착점으로 가져야만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 신체에 대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가능한 실험 및 연구는 생명의료 윤리학적 비판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현상학적 신체의 파괴나 해체로 귀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몸 말
3. 나오는 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0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보호 증대방안에 대한 고찰 / 이미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293

18 인체실험 GCP와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윤영란 외

발행년 2002 

  • 조회 수 29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 송시은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8

18 인체실험 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환자들의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인식조사 / 김양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1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30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와 생식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 서유미, 이경아

발행년 2010 

  • 조회 수 305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06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8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0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발행년 2014 

  • 조회 수 31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311

18 인체실험 황우석 교수사태 관련 한국 언론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 : 매체간. 매체내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석봉

발행년 2006 

  • 조회 수 314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16

18 인체실험 연재11. 인간 대상 연구에서의 윤리 / 안영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25

18 인체실험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 개발 / 김선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5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9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발행년 2007 

  • 조회 수 330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발행년 2016 

  • 조회 수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