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5693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donor kidney with acute kidney injury in deceased kidney transplantation

  • 저자[authors] 최승혁

  • 발행사항 전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i, 22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Note]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박성광<br>참고문헌: p. 19-21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2017.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전라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Deceased donor transplantation,Expaneded criterai donor(ECD),Acute kidney injury(AKI),Graft function

  • 소장기관[Holding]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245011)


초록[abstracts] 
배경: 만성 신부전 환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 대체 요법이 필요한 환자수도 늘어나고 있다. 신 대체 요법 환자에게 신 이식은 매우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지만 기증 장기 부족이라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뇌사 기증자 중 알려진 표준 기증자(standard criteria donor)보다 확장된 범주의 기증자(expanded criteria donor)를 이용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식 직전 급성 신부전이 동반된 공여자라 하더라도 장기적인 이식 신기능에 차이가 없다면 신장 이식에 이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방법: 1998년 5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에서 뇌사자 신장이식을 진행한 수여자의 이식 신기능과 공여자의 여러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공여자의 급성 신부전 동반 여부와 수여자의 3, 6, 12개월 후 이식신 기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급성 신부전이 있던 공여자는 급성 신부전 당시 신기능 정도를 세분화하여, 3, 6, 12 개월 후 수여자의 이식 신기능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공여자의 나이와 고혈압 유무 등 공여자 인자에 따라서 이식 신기능이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급성 신부전이 동반된 공여자와 급성신부전이 없던 공여자에 따른 수여자 이식 신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전 표준 기증자 기준과 달리 이식 전에 급성 신부전이 동반되었다고 하더라도 장기적인 이식 신기능이 적절한 정도로 회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식 전 공여자 관리 과정에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더라도 이식을 진행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 대체 요법이 필요한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보다 더 많은 신장 이식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6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26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7
26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2
265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26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6
26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91
262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26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7
26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25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7
25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2002  710
257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256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2016  684
25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25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5
2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장기기증자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황지영 2012  634
252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2003  629
251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7
25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249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