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6304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The) changes in organ transplantation governance in Korea

  • 저자[authors] 유정모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18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명석<br>참고문헌: p. 89-93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행정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장기이식,거버넌스,사회적 조정양식,협력적 거버넌스,거버넌스의 변화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 협력적 거버넌스가 나타나는 과정과 개별 거버넌스가 가진 장·단점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이점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거버넌스를 사회적 조정양식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회문제를 개별 행위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바라보았으며, 사회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 혹은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거버넌스의 변화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장기이식에 있어 개별 행위자들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사회적 조정양식과 거버넌스의 변화 방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장기이식 거버넌스에 있어 개별 행위자들은 장기이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행위자 간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가지고 있는 폐쇄성과 비공식성으로 인해 장기매매와 뇌사의 법적 불인정과 같은 현상들이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법을 제정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정부의 장기이식과 관련한 법의 제정은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가진 폐쇄성과 비공식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었으나, 과도한 계층제적 통제로 인해 과거에 비해 장기이식의 건수는 오히려 감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감소한 장기이식 건수를 높이기 위해 시장 거버넌스의 요소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뇌사자 발굴 병원과 장기기증자에 대한 인센티브로 나타난다. 이러한 시장요소의 도입 이후 지속적인 장기이식의 활성화를 위해 뇌사추정자 의무신고제도를 도입하였다. 현재 장기이식과 관련한 주요 쟁점은 장기이식에 있어 기증자에 대한 예우와 사회 분위기 조성으로 과거 도입되었던 시장 거버넌스적인 요소들을 축소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개별 행위자들이 인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하나의 사회적 조정양식을 사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조정양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특정시점에서 사용한 사회적 조정양식이 한계를 가질 경우 거버넌스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조정을 모색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법적 문제 : 사자장기증을 중심으로 / 정규원 2003  132
20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 및 수혜자의 CYP3A5 유전형에 따른 장기 생존 분석연구 / 김용환 2018  135
206 19 장기 조직 이식 새로운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 효과에 대한 탐구 / 이병관, 최명일 2008  136
205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전 total lymphoid irradiation(TLI)이 신장이식후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기근 1982  137
204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203 19 장기 조직 이식 Extracorpore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after Cardiac Death Effectively Expands the Donor Pool 2005  138
202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201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지지체를 이용한 생체 인공 간 이식의 신생혈관형성 가능성 / 이재근 2015  146
200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 조직과 세포의 기증 및 활용에 관한 법적 규율 / 이정념 2016  147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 / 정교민, 안두현 2013  149
19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내 간이식을 중심으로 / 이승규 1996  151
197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암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성장에 관한 융합 연구/임수진 2017  151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살아있는 미성년자의 장기기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비교제도론적 연구 : 미국, 일본, 스페인을 중심으로 2017  152
»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유정모 2018  152
194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 / 손미숙 2015  154
193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5
192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191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 이식환자에서의 예방접종 / 김윤정 외 2014  157
19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죄와 보상제도에 관한 검토 : 장기매매 금지와 장기이식 필요의 조화방안 2009  165
189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에 대한 관리 및 법제도 현황 / 조준현 2015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