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移植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47872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Kidney Transplantation from Expanded Criteria Donor in Korea: It`s Time to Have Our Own Criteria Based on Our Experiences

  • 저자[authors] 양신석 ( Shin-seok Yang ), 박재범 ( Jae Berm Par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移植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1[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이식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2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Kidney transplantation, Brain death, Donor, Standards, Allografts, 신장이식, 뇌사, 기증자, 범주, 동종이식편

초록[abstracts] 
[The disparity between the number of patients awaiting kidney transplantation (KT) on the list and the number of actual number of KT from deceased organ donation has become wider despite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onations. Moreover, the proportion of donors aged 60 or more has rapidly increased. KT from expanded criteria donor (ECD) has been not only been necessary, but also inevitable with respect to maximizing the use of this scarce organ resource. However, we still use the “marginal donor criteria” implemented in 2000 when 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was established. In the Korean transplantation environment, this “marginal donor criteria” does not have the power to predict graft outcome, and fails to discern grafts with inferior transplant outcomes from successful transplants. As a result, it does not meet the role of the criteria in Korea. Therefore, we should develop our own criteria based on our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experience. Here,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CD KT in Korea in context with the progression of the ECD criteria system in UNOS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and present some considerations for the Korean donor criteria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7
27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26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91
2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7
24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2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2
2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7
2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6
19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사형수의 장기이식 현황 / 안상희 2012  1247
1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1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1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8
15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1
1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의 정당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화성 2009  1340
1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8
1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2011  1502
11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2011  1508
1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매매의 도덕성 논쟁과 장기보상제도 / 정창록 2013  1551
9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