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8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49189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A Study on the Legislative for Activation and Regulation in The Study of Xenotransplantation


  • 제어번호 : 99949189
  • 저자명 : 양지예
  •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 Vol.18 No.2 [2010]
  •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45-176(3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0년
  • KDC : 517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이종장기이식 ,초급성 면역거부 ,인수공통감염 ,실험동물 ,추적조사 ,xenotransplantation ,hyperacute rejection ,ZOONOSES ,laboratory animal ,follow-up study


초록 (Abstract)

생명공학발전의 결과물 중 하나인 이종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은 부족한 이식 장기를 공급할 유력한 대체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종이식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직 소수에 불과하며, 국내에서 이종이식 또는 바이오장기 등은 일반적으로 생소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사회적으로 이종이식 자체에 대한 인식이 희박한 가운데, 이에 대한 인식 제고와 담론형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긍정적인 가능성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종이식은 몇 가지 해결하여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먼저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여 공급되는 인체장기와는 달리 자발적 의사가 결여된 동물의 장기를 이용한다는 점, 그리고 인간의 유전자를 포함하도록 조작된 형질전환 동물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거부감을 해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종장기이식의 실용화에 가장 큰 장애가 될 수 있는 초급성 거부반응을 극복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아직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볼 수 없으며, 인류에게 큰 재앙이 될 수도 있는 신종 전염질환이 발생할 위험마저 안고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윤리적인 문제나 발생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위험들에 대하여 사회 전반적인 합의가 없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이종이식이 여전히 장기수급의 유효한 대체수단이라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입장에 있다. 먼저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이종이식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극복하여야 할 문제점 및 해결방안 최종적으로는 연구지원을 위한 윤리자문기구, 행정기관의 설립 및 임상시험 지침의 제공을 내용으로 하는 단일법 제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법제화를 위하여 논의하여야 할 쟁점들에 관하여 다루었으며, 꾸준한 문제제기를 통하여 이종이식과 관련된 학계의 관심을 제고함으로써 이후 더 깊고 다양한 논의를 통해 국민적 합의 도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이종이식 연구의 필요성

Ⅲ. 이종이식의 현재

Ⅳ. 이종이식의 법제적 검토사항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7
2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2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2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4
2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6
2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문상혁 2015  195
21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5
2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18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
1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1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15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2003  629
14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1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간이식 전 교육 및 상담 / 하희선 2015  232
1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90
10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2012  333
9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