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70016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기타서명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complianc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저자 송정미
형태사항 vii, 84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오의금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2015.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상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시내 소재한 2000병상 이상인 A 종합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통원 치료 중인 간이식 수혜자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8월 14일부터 2014년 9월 17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로 구성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3.93점(5점 척도)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요인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물질적 지지 요인의평균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여성, 간이식 모임 참여 시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간이식 수혜자의 치료지시 이행 정도는 평균 4.32점(5점 척도)으로 중간 이상이었다. 9개의 세부 영역 중 외래 방문 영역이 가장 높았고 간이식 외과 외 다른과 진료 영역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 특성에서는 여성, 무직, 가족이 수입원인 경우, 간이식 모임 참여 시, 수술 후 경과기간이 3년 미만에서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이식 수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평균은 60.10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 8개 영영 중 가장 높은 것은 신체적 기능이었고 가장 낮은 것은 사회적 기능이었다. 대상자 특성에서 남성, 대졸 이상, 직업이 있는 경우, 이식 전 후 직업 변화가 없는 경우, 본인이 가족의 주 수입원인 경우, 가계 월 평균 수입이 300만원 이상일 경우, 간이식 모임 참여 시, 간이식 후 경과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 간이식 수술을 본인이 결정 한 경우에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치료지시 이행은 양의 상관관계(r=.458, p<.001)를 보여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간이식 수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결과, 가계 월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치료지시 이행 정도가 높을수록, 간 이식 경과 기간이 길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이식 수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이식 후 치료지시 이행을 향상 시키고 지속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대상자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우혜덕,박정숙

발행년 2012 

  • 조회 수 21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 가족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 김민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21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가족에 대한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의사소통경험 과정 연구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발행년 2000 

  • 조회 수 212

19 장기 조직 이식 약사의 복약상담 및 교육시행이 장기이식 환자의 만족도와 약품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배성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18

19 장기 조직 이식 투석이 필요한 상태의 뇌사 공여자로부터 신장이식 결과: 27례 / 이주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21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발행년 2007 

  • 조회 수 22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과 자기결정권

발행년 2009 

  • 조회 수 22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명시된 의사표명과 추정된 동의 / 김신, 정진규

발행년 2014 

  • 조회 수 22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분자 및 전기 자극에 반응하는 인공근육 연구 / 김태협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간이식 전 교육 및 상담 / 하희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2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장기이식등록기관 종사자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시군구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 김양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주치의의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 의뢰 및 발굴 경험에 대한 연구 / 김순일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23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 이정란

발행년 2014 

  • 조회 수 234

19 장기 조직 이식 간 및 신장이식 수술에서 병원 진료량과 진료결과의 관계 / 유태욱

발행년 2006 

  • 조회 수 23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에 있어서 Cyclosporine 사용시 이식신의 생종율 및 신장기증의 변화 / 성건형 ,강경원 ,박찬현 ,강종명 ,박한철

발행년 1991 

  • 조회 수 23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효과 / 김병철

발행년 2011 

  • 조회 수 239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발행년 2009 

  • 조회 수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