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83638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Relationships among self-care, social support, and biomarkers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 김현경


저자 김현경
형태사항 vi, 92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모나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2013.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간이식 수혜자는 평생 복용해야하는 면역억제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자가간호이행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자가간호이행과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13년 4월 12일부터 5월 29일까지 서울 소재 Y대학 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외래를 내원한 수혜자 118명으로 평균나이는 56.2세, 남자가 76.3%였다. 자가간호이행 측정도구 40문항,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24문항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생리학적 지표는 전자의무기록에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 이행점수는 총 172.11점(±14.76)으로 지각된 경제상태가 높을수록(F=3.960, p=.022), 수술 후 경과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가 3년 이상 5년 미만인 경우보다(F=3.096, p=.018), 이식 수술 전 동반 질환이 없었던 경우가 있었던 경우보다(t=2.207, p=.029) 자가간호 이행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점수는 총 109.26점(±11.19)으로 주 돌봄 제공자가 없는 경우보다 배우자인 경우가(F=4.206, p=.017), 공여자가 자녀인 경우와 뇌사자인 경우가 형제자매, 친척, 친구, 지인인 경우 보다(F=5.379, p=.002) 사회적 지지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간이식 수혜자의 생리적 지표와 자가간호 이행점수, 사회적 지지 점수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의 관련성을 살펴 본 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가간호이행 점수가 높았다(r=.361, p=<.001). 본 연구결과에서 간이식 수혜자들의 자가간호이행은 사회적 지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각된 경제상태와 수술 후 경과 기간에 따라 자가간호 이행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자가간호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술 후 경과 기간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정도와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고 각 간이식 수혜자에게 영향력이 있는 가족을 자가간호이행에 참여하도록 하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수술 후 경과 기간과 경제적 여건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자가간호이행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 동기부여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전문간호사는 간이식 수혜자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의료팀과 유기적으로 소통하면서 다학제적 중재를 해야 하며 이 과정에 가족을 포함시켜 최대효과를 볼 수 있도록 상담, 교육, 지지의 역할을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0
10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식세포 기증·수증의 공적 관리 및 지원 / 김은애 2009  175
106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조사 연구 / 김태은 2004  174
105 19 장기 조직 이식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의 기증 경험 / 유재연 2016  174
104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 정희윤 2015  173
103 19 장기 조직 이식 Thrombomodulin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이해선 외 2018  173
10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장기이식법의 가족주의적 기반 / 왕혜숙 2016  171
101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169
100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에 대한 관리 및 법제도 현황 / 조준현 2015  168
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죄와 보상제도에 관한 검토 : 장기매매 금지와 장기이식 필요의 조화방안 2009  165
98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 이식환자에서의 예방접종 / 김윤정 외 2014  157
9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5
96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95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 / 손미숙 2015  154
94 19 장기 조직 이식 살아있는 미성년자의 장기기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비교제도론적 연구 : 미국, 일본, 스페인을 중심으로 2017  152
93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유정모 2018  152
9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내 간이식을 중심으로 / 이승규 1996  151
91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암 환아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성장에 관한 융합 연구/임수진 2017  151
90 19 장기 조직 이식 재생의학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전망 / 정교민, 안두현 2013  149
89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 조직과 세포의 기증 및 활용에 관한 법적 규율 / 이정념 201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