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광고학연구(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27798 

새로운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 효과에 대한 탐구 :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기기증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the Persuasive Effect of Entertainment-Education as a NewPublic Campaign : The Influences of Television Program on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Organ Donation


http://www.riss.kr/link?id=A75227798


  • 저자명

     이병관, 최명일                        

  • 학술지명

    광고학연구(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권호사항

    Vol.19 No.1 [2008]             

  • 발행처

    한국광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5-97(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어떻게 E-E 메시지가 효과를 가지는지, 즉 E-E 효과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방영된 장기기증에 대한 E-E 프로그램이 어떻게 그들의 장기기증과 관련한 태도...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어떻게 E-E 메시지가 효과를 가지는지, 즉 E-E 효과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방영된 장기기증에 대한 E-E 프로그램이 어떻게 그들의 장기기증과 관련한 태도 및 행동 변화에 설득적 효과를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E-E의 설득과정에 관한 설명적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장기기증 동기(이타주의, 신체 손상 두려움, 자기-이미지)가 E-E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 관여(정서적, 인지적)와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및 행동 간의 관계에서 비록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지만 유의미한 중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E-E 프로그램에 대한 정서적 관여는 이타주의에 정적인 직접 효과가 있으며, 장기기증 태도 및 의도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델
    • 1) 서사의 설득적 효과와 수용자 관여
    • 2) 장기기증 실천행동에 대한 이론적 모델
    • 3. 연구방법
    • 1) 텔레비전 E-E 프로그램 “닥터스”의 개요
    • 2) 자료의 수집
    • 3) 변인의 측정
    • 4. 연구결과
    • 1)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장기기증 태도 및의도 차이
    • 2) 연구모형 검정
    • 3) 가설 검정
    • 5.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