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492877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risk factors affecting the graft survival in living unrelat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http://www.riss.kr/link?id=T9492877            

  • 저자

    전경옥

  • 형태사항

    v, 52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조우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 2004.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4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말기 신장부전환자의 주요 치료법으로 인식되어진 신장이식에 있어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해 연구하여 공여 장기 부족에 대...
  • 본 연구는 말기 신장부전환자의 주요 치료법으로 인식되어진 신장이식에 있어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해 연구하여 공여 장기 부족에 대해 비혈연간 신장 이식의 활성화에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979년부터 2002년 6월까지 서울 S병원에서 시행한 2115예의 환자 중 뇌사자를 이용한 신장이식 55예 아자시오프린을 주면역억제제로 사용한 115예를 제외한 1945예 중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환자 9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소 추적기간은 12개월이며 평균 추적 기간은 87.8개월이었으며 978예가 혈연간 신장이식이었고 967예가 비혈연간 신장이식을 시행하였다. 공여자의 구성원은 순수 기증자 781명, 교환이식 공여자 86명, 방계혈족 54명, 배우자 43명, 친구 3명이었고 수여자의 성별은 남자 640명, 여자 327명이었고, 공여자의 성별은 남자 707명, 여자 260명이었다. 수여자의 평균연령은 39.7±10.9이었고, 기증자의 평균연령은 33.7±8.6이었다. 5년 이식신 장생존율은 조직적합항원 완전일치군, 절반일치군, 비혈연간 신이식군 각각 93.7%, 87.6%, 83.4%이었으며 10년 이식신장 생존율은 각각 88.2%, 70.8%, 66.9%였으며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년 환자 생존율은 혈연간 신이식군은 95.8%, 비혈연간 신이식군은 91.8%이며 10년 환자 생존율은 각각 92.1%, 84.0%로 다변량 분석에서 의의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 사망의 주요원인은 감염(39.9%), 뇌혈관질환(13.1%), 악성종양(9.6%), 심혈관질환(8.6%)이었다. 다변량 분석 시 이식신장 생존율에 미치는 위험인자는 급성거부반응의 기왕력, 공여자의 연령 55세 이상, 수여자의 55세 이상, 이식전 당뇨병 및 B형 간염의 과거력 여부이었으며 ABO혈액형의 적합 정도와 조직적합항원의 적합성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확인하였으며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의 성적이 혈연간 신장이식의 성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향 후 공여 장기 부족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비혈연간 신장이식이 시행됨에 있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8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10
6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인체조직기증 제도와 조직기증자의 특성 / 박경연 2011  109
66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양재모 2010  108
65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6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7
63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6
62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61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6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가족들의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 오재숙 외 2017  103
59 19 장기 조직 이식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복순 2015  102
5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장려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저항 : 개인의 저항 성향과 정보원 요인을 중심으로 / 김현정 2017  102
57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5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를 위한 퇴원 전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7  100
5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9
54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98
53 19 장기 조직 이식 Challenging the Sanctity of Donorism: Patient Tissue Providers as Payment-Worthy Contributors 2015  98
52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및 우울의 관계/배가령, 김수 2016  98
51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50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4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