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279860 
연구논문 :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Articles : The Use of Human body for Life science and Legal regulation -ownership of human body-

                     

  • 저자명

    양재모 ( Jae Mo Yang )                                              

  • 학술지명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10 No.1 [2010]                                                         

  • 발행처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7-344(1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KDC

    360.05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2

초록 (Abstract)

  •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ad to changes in the legal system. Though those are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purpose(principle) of the law are justice, finality, the stability of the legal system Science is powerful challenger capable of threatening...
  •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ad to changes in the legal system. Though those are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purpose(principle) of the law are justice, finality, the stability of the legal system Science is powerful challenger capable of threatening law stability and it may lead to the chaos of justice concept embryonic stem cells in biotechnology is the key example. Research on embryonic stem cells raises profound legal questions. recycle of body is also important problem. recycle of body market is over $ 9 billion There are a lot of complexities surrounding this issue. -body trading or donation in civil cases, self-determination right in philosophy of law, injuries in criminal cases. Requirements of being a thing on private law are material, non-personality, the single, and soon we must amend non-personality, the part of requirements of being a thing. body is thing have personality. I propose an alternative legal system in lieu of traditional system-dualistic system of rights, human(the subject) and thing(the object). it has three parts. human, intermediate, thing. the intermediate has semi-persona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28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227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22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6
225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22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7
»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양재모 2010  108
22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인체조직기증 제도와 조직기증자의 특성 / 박경연 2011  109
221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10
220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
219 19 장기 조직 이식 일본 장기이식법의 특징 / 송영민 2017  111
21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4
217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질환환자에서 국내기증자조혈모세포이식과 해외기증자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비교/ 고영일 외 2017  116
21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및 인체조직 구득에 관한 공적 체계의 확립 / 김현철 2014  117
21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21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 이식술을 받은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2예의 지연성 칸디다 척추 골수염 / 강민석 외 2019  121
21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김동진 2003  122
21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정아, 김영아, 정향인 2019  122
2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상담 평가에서 기대되는 것 / 손예나, 이상엽 2017  122
210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7
209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