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임상사회사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69260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 The Job Performance of Socal Workers in Organ Transplantation

 


  • 저자명

    이병은

  • 학술지명

    임상사회사업연구

  • 권호사항

    Vol.4 No.1 [2007]

  • 발행처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7-193(1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 KDC

    334.1

  • 주제어

    장기이식전문사회복지사 , 장기이식사회복지사의 역할 , 장기이식사회복지사의 직무 ,

  • social workers specialized in organ transplantation

  • 판매처

    학술교육원 학술교육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초록 (Abstract)
      • 1988년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의한 간이식 성공 이후, 뇌사의 법적 인정 필요성, 생명윤리 논란,
      • 장기매매행위 등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하 “장기법”이라 한다)을
      • 1999년 2월 8일 제정하여 이듬해인 2000년 2월 9일부터 시행하였다.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 장기법에서는 국립장기이식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 KONOS)를 두어 장기기증에 대한
      • 총괄적 관리를 운영토록 하여 뇌사자의 기증장기를 공정하게 분배하는 성과는 있었으나 장기기증은 활성화되지
      • 못하였다.장기법에서 사회복지사를 참여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사회복지사가 어떤 직무를
      •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의료사회복지사계에서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나 현재의 객관적인 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장기이식의료기관으로 지정받은 의료기관중 고형장기를 이식할 수 있다고 한 의료기관중에서 52개 기관을
      • 선정하여 2006년 3월 12일부터 3월 22일까지 설문지를 우송하여 회송받았다. 적절치 않은 설문지는 제외하고
      • 이중 16개의 설문지만 통계처리에 사용되었으며,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측정도구는
      • 이호선(2003)이 개발한 직무수행도를 토대로 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수행도로서
      • 일부내용은 사회복지사에게 적합하지 않아 의사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거나 제외하였다.
      • 수행점수는 5점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였으며, 1점은 “매우 자주 한다”에서 5점은 ”매우 적게 한다“로 되어 있다.
      • 점수가 낮을수록 업무에 참여율이 높게 나타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4
14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이해 / 김종만 2012  247
1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14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 김은자 2018  249
144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143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의 적응증 / 김용주 2001  253
14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3
14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4
14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9
13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38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1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136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13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3
1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5
1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3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과 일본의 혈액사업 비교 / 김명희 1999  269
131 19 장기 조직 이식 종교와 종교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조광덕 2017  276
»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6
129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