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23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


  • 저자명 : 김장한
  • 학술지명 : 의료법학
  • 권호사항 : Vol.17 No.2 [2016]
  • 발행처 :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57-279(2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6년
  • 주제어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연명치료 , 말기환자 , 호스피스 , 환자연명의료결정법 , Advance directives , Hospice Care , Life sustaining treatment, Terminally ill patient , Well-dying Act

  • 초록
최근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고, 2017년 8월 4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 법은 임종 과정 환자를 연명 의료 중단의 대상으로 하고, 말기 환자는 호스피스․완화의료를 받도록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할머니 사건은 뇌손상으로 지속적 식물 상태에 빠진 환자에 대하여 가족이 인공호흡기 제거를 요청한 사건으로, 2009년 대법원이 일정한 요건을 인정하여 인공호흡기 제거를 허용한 사건이다. 김할머니 사건에 대하여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을 적용하였을 때, 과연 대법원과 같은 내용의 결정이 내려 질 수 있는지 가정적 적용을 시도하였다.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 환자 연명의료결정에 환자의 의사내용을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도리어 인공호흡기 제거가 불가능할 수도 있고, 과잉적 의료개입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말기 환자의 경우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하여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김할머니 사건에서 인공호흡기 제거가 불가능하다고 해석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법에는 암, 후천성면역결핍증, 만성폐쇄성호흡기 질환, 만성간경화 및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을 말기 환자로 규정하고 있는데, 보건복지부 지침 등을 통하여 김할머니와 같은 지속적 식물상태를 명확하게 제외하다는 해석이 필요하고, 전체적으로는 말기 환자의 사전 연명 의료 의사에 대한 자기 결정권 인정 여부에 대하여 재논의도 필요하다.

  • 목차

I. 서론
II. 소위 '김할머니' 사건
1. 사실관계
2. 대법원 판결 쟁점 정리
III.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적용
1. 환자연명의료결정법에 의한 김할머니 의학적 상태 분류
2. 환자연명의료결정법에 의한 환자 의사 추정
3. 환자연명의료결정법에 의한 인공호흡기 제거
4. 소결
IV. 가성적 사건 진행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문제
V. 환자연명의료결정법에 의한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고찰
1. 임종(과정)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결정
2. 말기 환자와 연명의료
3. 말기 환자, 사망의 임박의 의미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VI.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2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5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5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1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2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발행년 2002 

  • 조회 수 23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2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발행년 2010 

  • 조회 수 294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84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4

20 죽음과 죽어감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김장한

발행년 2016 

  • 조회 수 624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발행년 2017 

  • 조회 수 2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