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38505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유형과 특성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Type of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the Middle-aged about Death with Dignity


  • 저자[authors] :신선호
  • 발행사항 : 창원 :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 형태사항[Description] : 3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 지도교수: 신원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4.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 경상남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4
  • 주제어 : 존엄사
  • 소장기관[Holding]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248002)



초록[abstracts]

이 연구의 목적은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존엄사에 대한 제도마련 및 정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존엄사와 관련하여 엄선된 30개의 진술문(statement)을 가지고, 32명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존엄사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유형과 그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유형은 ‘허용형’으로, 이 유형은 존엄사에 대한 허용을 찬성하는 유형으로써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의한 존엄사는 수용되어야 하며, 극심한 고통을 동반하는 환자에게 존엄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존엄사 허용에 있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둘째 유형은 ‘반대형’으로 이 유형은 존엄사의 허용자체를 반대하는 유형이다. 존엄사가 허용되면 부당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이 늘어나며 인간의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해지며, 지금 현 상황에서 존엄사가 허용이 된다면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입장이다. 존엄사 자체가 인간의 존엄을 파괴하는 행위이며 생명의 단축은 자살과 다름없으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인식하였다.  셋째 유형은 ‘제한적 허용형’으로, 이 유형은 존엄사의 허용은 찬성하나 존엄사를 허용하기에 앞서 구체적인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성향을 가진 응답자들이다. 법적,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존엄사는 허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경제적인 이유로 존엄사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들의 제도적 보호나 명확한 기준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존엄사 허용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은 허용, 반대, 제한적 허용 등으로 매우 상반되는 것이었다. 존엄사라는 주제자체가 국민들의 온전한 합의를 이끌어낼 수 없는 것일 수 있지만, 존엄사제도 추진과정에서 국민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초록[abstracts]

Research purpose is to furnish fundamental data to need to prepare the system and policy about ‘the Death with Dignity’ by grasping 'Type of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the middle-aged about the death with dignity' and by analyzing its feature. 32 middle-ages test Q-sort with 30 statements which is related to the Death with Dignity. The result of analysis show that subjective perception type and its characteristic are as in following.
   The first type is 'permission type'. It is the type to consent a permission about Death with dignity, which indicate that Death with dignity by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should be accepted, it is necessary to patients with extreme pain and there is a positive awareness in permitting Death with dignity.
   The second is 'opposition type', which opposes to permit Death with dignity itself. It insists that there will be more people dying unfairly, a trend to make light of human life could be in everywhere and a serious problem will be raised if Death with dignity is permitted in the present situation. People think in the type that Death with dignity itself causes an act of destruction of human dignity, it can't happen because shortening of life is no different with suicide.
   The third is 'limited permission type', which is the people who agree with permitting Death with dignity but insist on preparing specific legal system before that. They said they can't agree with it without the legal system and the permission of Death with dignity without systemic protection or definite criterion for people who can't help choosing Death with dignity due to economic reason can arouse public criticism.
   As it turned ou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korean the middle-aged on Death with dignity is shown as Permission, Opposition, Limited permission. The subject, Death with dignity, itself seems not to be able to draw a complete agreement from people, but national opinions should be reflected during the process of Death with dignity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5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8
451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硏究論文) :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문성체 2009  188
450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한국 중년층의 인식유형과 특성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신선호 2014  191
44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2
44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446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의 자살예방 대책 / 정진욱 2018  194
445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정책 / 장윤정 2018  194
44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이동익 2009  195
443 20 죽음과 죽어감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 제남주 외 2018  195
442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9
44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44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439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200
4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연구 :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 최수정 2011  202
43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2
43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자살관념 생성과 극복에 관한 사례연구 / 강준혁 외 2017  202
435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검토를 통한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 방향에 관한 제언 ― 대상 및 범위의 확대와 의사(意思) 추정 및 대리의 적절성 담보를 중심으로 ― / 강다롱 2018  203
434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존엄사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주호노 2010  204
433 20 죽음과 죽어감 양로시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선월 2016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