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09818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Recognition of Good Death, Attitude toward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s Euthanasia in Nurses


  • 저자[authors] : 김숙남,김현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9No.2[2016]
  • 발행처[publisher]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36-144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6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에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수준과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생명윤리교육의 근거를마련하는데 실제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루어졌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 부산경남, 및 경북지역에 소재한 500병상 이상의 6개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허락한 자 218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 측정도구(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연명치료 중단 측정도구와 안락사 측정도구(Attitudes toward Euthanasia)를 사용하였다. 수집된자료는 SPSS 21 WIN 프로그램을 이용 서술통계,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보통 수준이었다. 간호사의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중단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차이는 교육수준, 근무경력및 신앙의 중요성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좋은 죽음과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역 상관관계가 있었고, 연명치료 중단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순 상관관계가있었다.  결론: 말기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문제를 다루는데 간호사들은 숙련되어야 한다. 좋은 죽음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확립과 연명치료 중단과 안락사와 같은 존엄사와 관련된 개념에 대한 이해와 윤리적갈등 상황에서의 판단과 해결능력에 관한 생명윤리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32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8
431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5
43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존엄사, 연명의료 중단, 그리고 장애인 / 조한진 2016  229
429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5
42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427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4
42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
42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4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423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5
42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4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웰다잉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화 2016  207
420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419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418 20 죽음과 죽어감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김장한 2016  612
»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2
416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서이종 2016  131
415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414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1
413 20 죽음과 죽어감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 노인의 연명치료 현황 / 박수현 2016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