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과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4264 

임종기에 존엄사를 위한 존엄치료의 역할


= The Role of Dignity Therapy During Terminal Period


  • 저자[authors] : 김유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사회과학논총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4No.-[2017]
  • 발행처[publisher]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83-202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긍정,연결,존엄치료,회원의 재구성


초록[abstracts]

[사람들은 죽음은 인간의 영역 밖이라는 수동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어서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다. 특히 임종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이 같은 죽음의 명제에서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이 시기를 잘 마무리 한다면, 이전의 생활 주기의 삶이 어떠했든지 간에 생을 잘 마감했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웰 다잉(dying-well), 좋은 죽음(good death), 품위 있는 죽음(dignified death)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한 부분에 도움을 주는 치료기법이 존엄치료다. 이 연구에서는 존엄치료의 기반이 되는 임종기와 시간감각, 새로운 이야기가 가능한 이야기치료, 죽음의 질을 고려하는 완화치료에 대한 고찰을 통해 존엄치료의 태동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존엄치료는 임종기의 환자들이 질병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들의 ‘빛나는 삶’을 회고하고 그것을 소중하게 여기는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접근을 개발한 Chochinov는 긍정의 감정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이는 품위있는 죽음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연구자는 문서를 읽을 대상을 명확히 함으로써 환자들은 자신의 삶의 회원을 재구성하며 이를 통한 죽음이후의 연결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밝혔다. 이 같은 작업은 남겨지는 가족들에게도 긍정적인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우리의 조상들이 그렇게 생각했듯이, 죽음은 단순히 삶과의 단절로 받아들이지 않고 이승에서 저승으로 이동하여 연결되어 있다고 이해한다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55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55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70
549 20 죽음과 죽어감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명숙, 김준수 2015  470
548 20 죽음과 죽어감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의사조력사를 중심으로/김하열 2016  470
547 20 죽음과 죽어감 자기의사결정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 정혜영 2014  469
546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9
545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54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543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542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2013  455
541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4
540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5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53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53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536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53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4
5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0
53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