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상담심리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38400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The Effects of Psychosocial Support and Death Preparedness  on Death Anxiety in Old Age : Mediating Effects of Ego-Integrity and Quality of Life

  • 저자[authors] 조창운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148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현심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상담심리전공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노년기,심리사회적 지지,죽음준비도,자아통합감,삶의 질,죽음불안

  • 소장기관[Holding]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97)

  • UCI식별코드 I804:11097-200000008485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노년기에 있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지지 및 죽음준비도와 죽음불안의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의 매개역할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진행은 서울, 경기, 충남지역의 복지관에서 활동하는 노인,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노인, 직장에 근무하는 노인, 재가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460부를 배부하여 425부를 수거하였으며, 유효한 자료로 확인된 4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심리사회적 지지, 죽음준비도, 자아통합감, 삶의 질, 죽음불안 등으로 구성된 총 85문항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측정도구의 검증을 위해서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과 신뢰도분석 및 매개 역할의 분석에 있어 Phantom 변인을 통한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변인 간 구조관계와 연구모형의 검증에서는 모든 경로계수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사회적 지지, 죽음준비도, 자아통합감, 삶의 질과 죽음불안과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죽음불안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죽음준비도와 자아통합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사회적 지지, 죽음준비도와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지지는 자아통합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죽음준비도는 자아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사회적 지지, 죽음준비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변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통합감은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삶의 질은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죽음준비도와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 삶의 질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은 죽음준비도와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죽음에 관련된 문제들을 회피하는 것보다는 정면으로 다루어서 노년기의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긍정적으로 재평가하고 정립하여 여생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는 성공적인 노화를 돕는 연구가 더 많이 있어야 한다는 것과 실천적인 방법으로는 죽음준비교육 등을 통하여 죽음을 올바르게 인식하여 긍정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정책적인 지원과 사회복지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9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4
591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5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58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6
58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587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7
586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7
585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8
5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583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58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581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58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5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0
»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20
57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 권수현 2018  120
576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57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송영민 2014  121
574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1
5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統全)적 죽음이해의 제도화에 대한 고찰 :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법학을 방법론으로 하여 / 민윤영 2017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