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59163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자기결정 경험 연구

  • 저자[authors] 신향숙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우국희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고령사회,노인 장기요양보험,장기요양시설,노인의 자기결정,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임종장소선택,호스피스

  • 소장기관[Holding] 서울기독대학교 학술정보관 (211018)

  • UCI식별코드 I804:11018-200000018742


초록[abstracts] 
20세기는 ‘젊은 청년들의 시대’였다면 21세기의 새로운 밀레니엄은 ‘신개념 글로벌 고령시대’가 파도처럼 밀려오고 있으며 2060년에는 ‘임종대란’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존엄한 죽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입소노인들의 죽음준비에 대한 인식과 임종장소선택 자기결정에 관한 인식에 대하여 어떻게 경험을 하고 받아들이고 있는 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논문의 주제는 시설 입소노인들이 존엄한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함이며 권리로서의 임종장소선택자기결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노인들이 권리로서의 존엄한 죽음을 위한 자기결정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런 시점에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들의 존엄한 죽음을 위한 자기결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기에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어르신들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인터뷰 가드라인은 첫쨰,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어르신들의 자기결정에 따른 죽음준비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쨰,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어르신들의 임종 관련 자기결정 제약요건은 무엇인가? 셋쨰, 존엄한 죽음에 관한 인식은 무엇인가이다. 자료 수집은 약 20개월 소요되었고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존엄한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 장소선택 자기결정에 관한 인식에 가치를 부여하고 올바르    게 기술하여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인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쨰, 시설입소노인들은 죽음준비전의 좋은 죽음은 임종을 지키는 자식들의 손을 잡고 따뜻한 집에서 죽는 죽음이었고, 죽음준비후의 좋은 죽음은 준비된 죽음이 제일 좋은 죽음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쨰, 권리로서의 임종장소선택자기결정에 관한 인식은 치료과정이나 존엄한 죽음을 위한 자기결정과 임종 장소 선택에 대한 결정의 기회도 제공받지 못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쨰, 존엄한 죽음을 위한 자기결정은 살아온 삶에 대한 ‘마지막 마무리’를 하는 것에 대한 책임적인 행동이라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쨰, 권리로서의 존엄한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에 관한 선택의 실천으로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둘째, 노인들만의 교육이 아니라 나이든 부모가 있는 자녀들도 함께 교육을 하여 언젠가는 떠나보내야 할 아픈 마음을 받아들일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효도’라는 생각으로 연명치료에 매달려 고통과 아픔에 시달리며 죽음에 대한 가치관을 세워 놓지 못한 상태에서 상황에 끌려가는 준비 없는 죽음보다는 죽음을 맞이하는 자의 ‘마지막 역할’로 편안하고 건강하게 자연으로 돌아 갈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진정한 ‘효도’이고 ‘아름다운 사랑’의 본질이라는 인식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에게 자기결정의 경험과 기회가 필요하며 자기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드리고 권리로서의 자기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려야 한다. 우리는 세상을 살아갈 떄 모든 것을 하고 싶은 대로 다 할 수 없는 한정된 삶을 살고 있으며 죽고 사는 것은 ‘생의 마지막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자신의 문제이고 자신만의 몫이니 스스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삶과 죽음을 존엄하게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인생의 매듭들이 잘 지어지기를 소망한다.  어떻게 잘 죽을 것인가, 생명은 소중하기 떄문에 의료진과 가족들이 최선을 다하고 연명치료를 한다고 해서 죽음을 비켜갈 수는 없다. 그러므로 무엇을 위해야 하고 누구를 위한 최선인가 생각해보아야 한다.  삶을 대하듯 죽음을 들여다보고 죽음과 친해지고 인생을 아름답게 마무리하기 위해서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세워 놓고 마음의 준비를 해 놓아야 행복하게 인생을 마무리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692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34
69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6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689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52
688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7
68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26
686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21
68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80
68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9
68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8
68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681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13
68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7
679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9
67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67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7
676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675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6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2014  959
6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