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위덕대학교 대학원 : 불교학과 명상심리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10531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healing program for preparation of death:Focusing on cases with Jung-To village Ja-Jae care hospital

  • 저자[authors] 정현정

  • 발행사항 경주 :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12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장익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위덕대학교 대학원 : 불교학과 명상심리학전공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영적돌봄,준비된 죽음,노년기 변화,정토사상,극락정토,아미타불,명상염불,The healing program for the preparing of death,spiritual nurturance,Ready for death,Senile change,Pure land ideology,The Utmost Bliss of the Pure Land,Amitabha Buddha,The chant a Buddhist prayer meditaton

  • 소장기관[Holding] 위덕대학교 도서관 (247032)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이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환우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통계연구로, 연구대상자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우 중 K-MMSE검사 15점 이상인 환우5명과 평소 인지와 대화가 가능하고 연구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한 환우 9명을 선발하여 총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프로그램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14일 까지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오후 2시에 진행하여 주 2회씩 10회기 동안 실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사후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 죽음 기피심을 완화하고 꼴라주와 수의 고르기, 만들기 등의 죽음을 주제로한 직접적인 치유활동으로 불안을 완화하고 명상염불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여 환우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일반적인 상황 및 사전, 사후 정신건강척도와 죽음준비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정신건강척도지는 1972년 영국에서 개발된‘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일반 건강 설문지)'를 2000년도에 신선인이‘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KGHQ)로‘한국 일반 정신건강 척도’라는 용어로 표준화하여 개발한 KGHQ(한국 일반 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회기별 집단원의 프로그램에 대한 느낌나누기와 사후 인터뷰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건강과 죽음준비도에 대한 변화를 서술하여 연구결과와 함께 제시하여 통계분석이 갖는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통계분석에 의한 연구 결과로는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이 정신건강의 신체화 증상과 불안증, 그리고 죽음에 대한 심리적 준비에 미치는 효과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사회생활 부적응 변인에 미치는 효과와 심한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죽음에 대한 물리적 준비에 미치는 효과와 죽음에 대한 사후준비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사례의 측면에서는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이 환우의 정신건강의 구성 요인인 신체화 증상에서 팔목 통증이 사라졌다는 등의 구체적 진술표현과 불안증에 관하여 편안하다는 인터뷰 그리고 프로그램 참가 인원 서로 간의 건강이나 출석에 대해 서로 살펴주는 모습, 회기를 더할수록 말수가 늘어나며 서로 영적대화를 시도하는 모습에서 사회생활 부적응 변인과 심한 우울증에 대한 변인에 의미가 있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죽음이라는 단어만 봐도 불편해 하며 기피하던 대상자들이 6회기 부터는 서로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나누는 모습에서 죽음준비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느껴졌다.    이러한 이유로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은 노년기 환우의 죽음준비에 관한 심리적, 신체적 등 영적돌봄의 기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3
571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3
5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56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6
56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567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566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2
56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1
56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56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502
56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561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56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55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558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5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556 20 죽음과 죽어감 조력자살과 형법 - 안락사의 일 유형으로서의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주희 2011  483
555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554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0
55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