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82770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Ethical Sensitivity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저자[authors] 마성민

  • 발행사항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47 장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서지민<br>참고문헌: 장 29-35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2018. 2

  • DDC[DDC] 610.73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윤리적 민감성,윤리적 성향,윤리풍토,윤리적 리더십,간호사

  • 소장기관[Holding]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16)

  • UCI식별코드 I804:21016-000000133766


초록[abstrac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thical sensitivities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for which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8, 2017, to September 8, 2017.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in B-c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Ethical Sensitivity Scale for Clinical Nurses, Ethics Position Questionnaire, Hospital Climate Survey, and Ethical Leadership Scal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23.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average ethical sensitivity of the subjects studied was 145.18±12.92; the ethical orientation average was 74.80±9.20; the hospital ethics climate average was 96.98±13.00 points; and the ethical leadership average was 39.10±6.40 points. Educational level (β=0.12 p=.045), idealism (β=0.43,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ethical orientation and relationship with patients (β=0.25, p=.024), and relationship with the physician (β=-0.29, p=.013) among the sub-factors of the hospital ethics climate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ethical sensitivity, and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53.5%.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thic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educational level and ethical orientation (idealism) among personal factors, and hospital ethics climate (relationship with patients, relationship with physicians) among organizational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of education, ethical orientation, and the hospital ethics climat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es. Keywords: ethical sensitivity, ethical orientation, ethical climate, ethical leadership, nurs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발행년 2011 

  • 조회 수 104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안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발행년 2010 

  • 조회 수 10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6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6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의존상태 노인의 의료에서의 존엄 / 김도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론에 대한 고찰

발행년 2006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 박영호

발행년 2005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정의정

발행년 2012 

  • 조회 수 108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0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1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3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