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와 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04940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 From the Metaphysics of Death to the Solidarity of Community Life

  • 저자[authors] 권수현(Su Hyeon Kw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사회와 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35[2018]

  • 발행처[publisher] 사회와철학연구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5-15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사뮤엘 쉐플러,윌리엄 버나드,죽음,공동체적 연대,불멸성,Samuel Scheffler,Bernard William,death,solidarity of community,immortality


초록[abstracts] 
[사뮤엘 쉐플러(Samuel Scheffler)는 2013년 죽음과 사후 삶을 출간함으로써,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그의 논지는 두 가지 사실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우리가 개체로서 죽는다는 사실과 다른 하나는 우리의 죽음 이후에도 인류가 계속 생존한다는 사실이다. 그는 이 두 가지 사실을 기반으로 죽음을 통해 인간다운 삶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규명한다. 그는 이 두 가지 사실이 부정된다면 가치평가와 가치실천의 조건이 성립할 수 없으며 우리의 가치와 의미로 가득한 상징적 세계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는 곧 인간다운 삶의 상실을 뜻한다고 주장한다. 쉐플러의 연구는 개체의 죽음과 공동체의 사후 삶 간의 연관을 밝히는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다. 죽음의 두려움과 불멸성에 관하여 분석적이면서 동시에 삶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석학적 관점을 제공하는 그의 연구는 새롭다. 그러나 죽음의 연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내디뎌야 한다. 그의 죽음연구는 이론 차원에서 실천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것은 그의 죽음연구의 실천적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으로서 죽음과 삶의 순환에서 규범적 의미를 규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며 인간이 자신의 유한함 안에서 유한성을 넘어서며 공동체의 삶 속에서 자유를 찾아가는 과정임을 드러내야 한다. 즉 죽을 운명을 지닌 개체의 한계를 넘어서서 공동체의 삶과 연대하는 인간다운 삶의 회복이 죽음 연구의 주요과제가 되어야 한다.

Samuel Scheffler received special attention when he published his book Death and Afterlife in 2013. His thesis starts with two facts. One is that we all die as individuals; and the other is that we survive continuously after our deaths. Based on these two facts, he reveals how it is possible to live a human life with death. He argues that if these two facts are rejected, the conditions for valuation and value practice can not be established; and a symbolic world filled with our values and meanings can no longer be maintained; and it means the loss of human life. Sheffler’s study moves toward a point where it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ath of an individual and the afterlife of a community. His study is new, because it provides an analytical perspective on fear of death and immortality and at the same time a hermeneutics perspecti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ife. But the study of death should take this one step further. His study of death should be expand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a practical one. This expansion means to elicit practical conclusions from his study of death and to establish a normative meaning of the existential cycles of death and life. And thereby it should show that death is not the end but a new beginning, and it is a process in which humans overcome mortality and seek freedom in the lives of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it is a restoration of human lif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life as an individual to bond with the lives of community.]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죽음과 죽음이후의 삶  3. 죽음의 형이상학 : 죽음의 두려움과 불멸성 그리고 권태  4. 죽음의 의미 : 가치실천과 미래인류의 존속  5. 왜곡되지 않은 죽음의 문화와 삶의 연대를 향해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9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4
591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5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58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6
58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587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7
586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8
585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8
5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583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58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581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58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57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윤영미 외 2017  120
578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20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 권수현 2018  120
576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57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송영민 2014  121
574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1
57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과 생명연장의 경제적 가치: 실증분석 결과 / 류근관 2014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