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89187 
존엄한 죽음의 의미 

= The Meaning of Dignified with Death

  • 저자[authors] 정복례,조영화,Chung, Bok-Yae,Cho, Young-Hw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0-11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죽음,존엄한 죽음,호스피스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존엄한 죽음의 의미를 참여자의 관점에서 있는 그대로 탐구하여 확인하고 기술함으로써 그 구조와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연령대와 성별을 고려한 일반인으로 총 1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참여자와 개별적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인지하는 존엄한 죽음은 4개의 범주와 9개의 주제모음 및 18개의 주제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4개의 범주는 '편안한 죽음', '보기 좋은 죽음', '해결하고 죽는 죽음', '남긴 죽음'이었고, 9개의 주제모음은 '고통 없는 죽음', '자연에 순응하는 죽음', '흉하지 않은 죽음', '좋은 회상을 남기는 죽음', '원하는 방식으로 죽는 죽음', '주변을 정리한 죽음', '응어리를 풀고 가는 죽음', '잘 살고 죽는 죽음', '인정받는 죽음'이었다. 결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의미하는 존엄한 죽음은 고통 없이 편안하게 죽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남아 있는 삶 동안 모든 일을 해결하고 가족을 포함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좋은 이미지로 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사람들의 존엄한 죽음을 위하여 임종을 앞둔 대상자의 호스피스 간호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explored Korean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death with dignity that Korean people. Method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A total of 13 participants were sampled based on their age and gender.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from September 2015 through February 2016.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study, we evaluated its realistic value, applicability, consistency and neutrality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criteria of Lincoln and Guba. Results: Koreans' perception of death with dignity was structured as 19 themes, nine theme clusters and four categories. The four categories were "comfortable death", "good death", "resolving problems before death", and "death with good reputation". The theme clusters were "death without pain", "death submitting to one's fate", "death that is not ugly", "leaving good memories to others", "dying in a way we want", "death after proper settling of things", "dealing with chronic resentment before death", "death after living a good life", and "death with recognition". Conclusion: For Koreans, death with dignity meant not burdening others, settling things right and leaving good memories to their families and friends. Such perceptions can be applied to hospice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사이버보안 특집 : 연명치료의 중단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발행년 2011 

  • 조회 수 98

20 죽음과 죽어감 세계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련 법제도 비교 / 아태연구

발행년 2013 

  • 조회 수 98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노동일

발행년 2009 

  • 조회 수 99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99

20 죽음과 죽어감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유은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9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김미혜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99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 신정원

발행년 2019 

  • 조회 수 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교육프로그램 개발 / 태윤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서비스가 말기암 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정현명

발행년 2009 

  • 조회 수 100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현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의 의미 / 정복례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1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 / 조경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정미렴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0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 이준석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