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78374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 A hermeneutic approach to life, death and freedom

  • 저자[authors] 박혜순(Park, Hye So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2018]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6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200
  • 주제어[descriptor] Life & Death,the Absolute Freedom,Predetermined Ideas and the Predetermined Mind,an Oblivion and Dissolution

초록[abstracts]
[The philosophical theme of Zhuangzi is how to secure the absolute freedom of the individual. The most significant obstacle binding the freedom of human beings is the fear of death. However, Zhuangzi viewed death as nothing more than transformation through the meeting and parting of chi. Since chi only transform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ings and does not dissipate, the human fear of death is simply manipulated by the tyranny of a perception based on false knowledge. Such erroneous perception originates from predetermined ideas and the predetermined mind. Predetermined ideas infringe upon individual freedom in the name of universal knowledge. For this reason, Zhuangzi considered the knowledge crafted by predetermined ideas as the source of disaster or the means of scheming. He believed that predetermined ideas work as weapons to confine people within their emotions: confirmed to be the universal knowledge,predetermined ideas restrict human beings. Hence, it is essential to dissolve both predetermined ideas and the predetermined mind, to reach True Knowledge. In conclusion, oblivion and dissolution are the means of overcoming life and death, and obtaining freedom in Zhuangzi’s philosophy. The methodology of oblivion and dissolution is stated through self-transcending concepts like “fasting the mind”, “sitting in oblivion”, “having clear insight as morning light”, “manifesting the individual”, and “losing oneself”. It is achieved by escaping the fabrication of perception. By doing so, one can obtain the True Knowledge and therewith reach freedom. What True Knowledge is can be assessed by examining the attitude of the True Man. The attitude of the True Man is to have insight into everything from the position of the proper light of the mind, and to respond from the pivot of the Dao with chi. The True Man is not trapped by the frame of perception but copes with change freely; he thus appears unshakable by emotional preferences, moral judgments, changes in nature, and so on. He is a free man who has liberated himself from predetermined ideas and the predetermined mind, and reached the state of having an unmoved mind through the True Knowledge. The fables of Zhuangzi examined here offer new insight into life and death by providing a means of true perception. Accepting this and changing our perceptions will greatly facilitate our mental freedom and the leading of a qualitatively matured life.]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참된 앎과 죽음의 문제 Ⅲ. 지식은 화의 근원이다 Ⅳ. 망각과 해체 Ⅴ. 마치는 말에 대신하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5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2014  80
651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2
650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2017  82
649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 안락사를 중심으로 1999  85
6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대리인 지정제도 도입방안 모색 / 김보배 외 2018  86
64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89
64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645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64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 · 질병없는 미래를 꿈꾼다 ·· 바이오신약 / 장인진 2004  91
64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향한 불편한 시선,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 하정화 2017  93
64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허용 여부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김학태 2008  94
641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64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63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5
638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5
6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6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635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634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633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