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10027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Death Recognitio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 저자[authors] 강경아,이경순,박강원,김용호,장미자,이은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3[2010]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9-18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0

초록[abstracts]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ath recognitio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of participants 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nd 205 data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ANOVA, and Duncan test were used. Results: 1) The following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death recognition shown by the participants.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said that they had given some thoughts on their deaths, that they had agreeable view on death acceptance, and that diseases and volunteer works made them think about their deaths. Moreover, suffering, parting with family and concerns for them, etc.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the difficulty of accepting death. As for 'the person whom I discuss my death with', spouse, friend, and son/daughter were the most chosen in this order. Lastly, the funeral type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desired was cremation. 2) The means of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were 2.92±0.29 and 2.47±0.25,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alth status,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3) A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r=0.190, P=0.001). Conclusion: For an effective death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fit each individual's situation, an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make a person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or her life and death, includes knowledge to lessen the fear and anxiety of death, and helps a person heal from the loss of a family member is absolutely necessar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169-180), 

목적: 본 연구는 죽음교육 참여자들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죽음에 대한 태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변수 측정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거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 참여를 허락한 270명이었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205부가 활용되었다. 결과: 본 연구대상자들의 죽음인식 특성은 절반 이상에서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 본 경험이 있었으며 죽음수용에 대한 의사를 가졌고 죽음을 생각하게 된 이유는 질병과 자원봉사 경험이 관련이 되었다. 죽음 수용이 어려운 이유로 가족과의 이별 및 염려, 고통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죽음에 대한 의논은 배우자, 친구, 자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희망하는 장례유형은 화장이었다. 자신의 생의 의미를 지각하는 정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죽음에 대해서 보통 이상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생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태도와는 순 상관관계를 보여 생의 의미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임이 파악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죽음 교육 참여자들의 생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고 수용하는 정도는 질병과 자원봉사 경험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죽음 수용의 어려움과 죽음준비교육이 필요로 되는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파악된 점은 죽음에 대한 불안을 줄이는 방법, 이별과 사별 슬픔 극복 방법, 삶의 죽음의 의미 등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죽음 교육을 위해서는 자신의 삶과 죽음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고, 죽음의 불안과 두려움을 경감시키기 위한 지식, 가족과의 이별과 사별치유를 도울 수 있는 교육내용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32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2010  143
53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53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장한철 2018  143
529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 안순녀 2019  143
52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43
52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4
526 20 죽음과 죽어감 지면보수교육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지침과 해설/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2017  144
52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524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52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
5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헌법적 근거, 범위, 환자의 의사확인을 중심으로 - / 박승호 2018  146
52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46
»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강경아 외 2010  147
519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이현정 2010  148
51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노쇠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적정의료에 대한 연구 / 김도경 2013  148
517 20 죽음과 죽어감 사례 중심으로 풀어보는 연명의료 / 이명아 2017  148
516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515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안락사에 관한 국제법 및 비교법적 고찰 / 장복희 2011  149
514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51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