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스트레스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12335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spice Service Experience on Life and Death Attitudes

  • 저자[authors] 장민희(Minhee Jang),정태연(Taeyun J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스트레스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스트레스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5-10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호스피스 봉사,삶의 가치,의미있는 삶,죽음태도,죽음불안,Hospice service,Values,Meaningful life,Death attitudes,Death anxiety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호스피스 봉사 경험에 따른 삶과 죽음 태도 차이를 양적으로 검증하고, 호스피스 봉사를 통해 죽음을 직면한 후 변화된 삶과 죽음태도를 질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총 157명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봉사 유무에 따른 삶과 죽음태도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호스피스 봉사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권력과 성취 등 자기중심적인 삶의 가치 추구는 호스피스와 관련이 없는 일반인이 가장 높게 보고하였지만 의미있는 삶의 요인으로 종교와 공동체는 호스피스 봉사자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게 보고하였다. 죽음 불안 역시 호스피스봉사자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질적 연구결과, 봉사 후 가족의 소중함과 이타적인 삶의 중요성을 느꼈으며, 죽음수용적인 태도 변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스피스 봉사 경험을 통한 죽음 직면이 자기초월적인 이타성과 공동체 지향, 종교적인 삶, 그리고 죽음 수용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hospice service experiences on the volunteers’ attitudes toward life and death.    Methods: Study 1 examined differences in life and death attitudes between hospice volunteers, hospice service trainees, and lay people using one-way ANOVA. Study 2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0 hospice-patient care volunteers who had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Results: After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of lay people, hospice trainees and hospice volunteers, both hospice trainees and hospice volunteers compared to lay people showed lower pursuit of power and achieveme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haracteristic of people motivated to volunteer, rather than volunteering itself. However, only hospice volunteers reported highly of religion and community as factors of meaningful life. Also, the volunte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ath anxiety compare to the group without volunteer experience. Result of qualitative study showed that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altruistic lifestyle and prepared their own demise in their lives after volunteering.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es of hospice service may be associated with self-transcendent life and positive death attitudes.]

목차[Table of content] Key messages  Abstract  서론  연구Ⅰ  연구Ⅱ  고찰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9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성찰 : 연명의료결정법과 안락사, 존엄사를 중심으로 / 이은영 2018  616
9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2013  6645
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50
8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88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87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86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45
85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7
8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이론의 비교 연구 / 황도수 2013  61
8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합법화 / 김선택 2018  183
82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2017  80
8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강경아 외 2010  145
8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 선호도 / 조경희 외 2017  102
7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2017  52
7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향한 불편한 시선,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 하정화 2017  93
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 박수경 2017  55
7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7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PR 캠페인의 전제 / 김병희 외 2018  70
7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