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과영상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93668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A Beautiful Approach to Death, Well-Dying — The Bucket List, Closer to Heaven, Ending Note, Amour -

  • 저자[authors] 김건(Kim, Ge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학과영상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No.3[2013]
  • 발행처[publisher] 문학과영상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41-66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주제어[descriptor] 웰다잉,웰빙,카이로스,사생체험,죽음교육,Well-dying,Well-being,Kairos,Death-Life,Death Education

초록[abstracts]
[We all live in the age of anxiety. In the modern consciousness generalizing about “turning away from death” or “absence of death”, it is a truism that our life seems mentally more remote from a driving power for life now than it once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restoration of precious life’s value with the concept of “Well-dying” that will provide fodder for the question, “why do we live?” It is not only a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but also a study for meaningful time utilization about the temporal change in post-modern society. For this, the researcher will shed light on what Well-dying aims at and the concept’s faults, through consideration for films of four different countries (based on different socio-cultural content), which deals with in the theme of death.    After all, this study examines not a clinical pathology or ambiguous speculation on an alternative way for dying well, but practical and cognitive conditions for the concept of Well-Dying that gives meaning to our lives and transmutes empty time into abundant time. This study will also suggest a gaze on objective point of view, through the way to illustrate exactly the concept of Well-dying in those films and what the films are up against. In the Korean reality whose suicide rate tops among the OECD members, moreover, the argument will give a chance to ruminate on one’s dignity and the real meaning of life for those who might be choosing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extreme isolation from a society.]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는 말 Ⅱ. 웰다잉의 개념과 정의 Ⅲ. 영화 속의 웰다잉 Ⅳ. 나오는 말 인용자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7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754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연구 / 안모원

발행년 2018 

  • 조회 수 745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발행년 2011 

  • 조회 수 74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발행년 2015 

  • 조회 수 73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 구영모

발행년 2005 

  • 조회 수 727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발행년 2015 

  • 조회 수 72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발행년 2009 

  • 조회 수 681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윤정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발행년 2013 

  • 조회 수 679

20 죽음과 죽어감 ‘업무로서 행해지는 자살방조’의 범죄화 / 김성규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관점 / 이상목

발행년 2005 

  • 조회 수 66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발행년 2014 

  • 조회 수 664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발행년 2000 

  • 조회 수 66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 임선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65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발행년 2000 

  • 조회 수 650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발행년 2000 

  • 조회 수 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