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행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24455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The Need of Integrated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 저자[authors] 박은철 ( Eun-cheol Par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행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Integration; Suicide prevention; Mental health services; Social welfare service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Suicide is a major problem in Korean health care and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12,463 people (24.3 per 100,000) lost their lives due to suicide in 2017. Although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ree National Comprehensive Plan of Suicide Prevention (2004, 2009, 2016), and National Action Plan of Suicide Prevention (2018), the suicide rate is still high.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s especially high. This is due to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the elderly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n Korea, mental health care approach and social welfare approach should be integrated. The intervention of preventing suicide of suicide attempters should include social welfare services as well as mental health program and should be based on community. There are many health problems, including prevention of suicide, which can not be solved only by the efforts of health care. Many health problems are social problems and the integrated approach is needed to solve them. In order to solve many health care problems and improve health, integrated approach of health,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s need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648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191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72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발행년 2019 

  • 조회 수 16033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1432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 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김학태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07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발행년 2011 

  • 조회 수 82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216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발행년 2013 

  • 조회 수 664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20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발행년 2008 

  • 조회 수 60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발행년 2008 

  • 조회 수 5263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발행년 2009 

  • 조회 수 3871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793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78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발행년 2007 

  • 조회 수 328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발행년 2003 

  • 조회 수 316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286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5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죽음개념의 변화 / 김경란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