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敎育問題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4436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Korea.

  • 저자[authors] 강선보,이동윤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敎育問題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2No.1[2019]

  • 발행처[publisher]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11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s about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death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ground of death education and introduces specific schoo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n this context, The paper find three implications on death education in Korea.  First, the teacher in charge have an ability of teaching about death for the operating of curriculum on death education.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 on death education that must be established. Second, death education designed by committee of preparation for death education that the committee should guarantee participation of main agents on education. Third, the specialist of various fields are able to participates when constructing of curriculum on death education.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죽음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죽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먼저 미국의 죽음교육에서는 죽음교육의 배경에 대해 탐구하고, 이어 미국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운영되었던 죽음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미국의 죽음교육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담당교사가 교육과 연수를 통해 죽음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둘째, 죽음교육은 교육의 주체들이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죽음교육준비위원회를 바탕으로 기획되어야 한다. 셋째, 죽음교육과정을 구성할 때에는 죽음교육의 다학문적 기반을 고려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60
49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490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1
489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4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
48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 종사자의 호스피스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정숙 2018  162
486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485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3
484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63
483 20 죽음과 죽어감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신진영 외 2017  163
4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4
481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6
4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김용 2018  166
47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9
478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9
4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2017  169
»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69
475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71
4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계숙 2018  172
47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