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4995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Current Research Trends in Hospice-Related Domestic Nursing Research Theses (1998~2017)

  • 저자[authors] 김원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the hospice nursing research trend in 1998~2017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hospice nursing. Methods: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with keywords of ‘nursing’ and ‘hospice on 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lso reviewed were all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and its 8 subcategory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 Korean Hospice Association from 1998 through 2017, except thesis papers. Results: In 2013~2017, 79 articles (31.0%) were relevant, up over 7% from 61 articles (23.9%) in 2008~2012. The most studied field was psychology (92 papers, 36.2%) in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nrolled in most papers were patients with end-stage cancer (75, 29.5%), which is overwhelmingly high. Most studies used quantitative methods (183, 72.0%). Recognition was the most studied theme (62, 24.4%), and 16 of them focused on recognition of death (6.3%). Intervention studies totaled 34 (13.4%), and most of them (7, 2.8%) were conducted for palliative education. Conclusion: Most hospice nursing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ies, conducted with patients, and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us, more studies with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re needed.  And more experimental and qualitative studies are needed to build an evidence-based nursing study environment. Considering how most studies examined psychological factors,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pain, a major issue in hospice care, should be analyzed in experimental studies to construct a pain interven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

국문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호스피스 간호연구논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주요 검색어는 ‘호스피스’, ‘간호’였으며(마지막 검색일: 2018 년 3월 30일) 검색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4u.net)를 통해선정되었으며, 더불어 한국간호과학회지 및 8개 분과 학회지와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와 한국호스피스협회지에 1998년부터2017년까지 게재된 논문 모두를 검토하였으며, 학위논문은 제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1998년부터 2002년에 51편(20.0%)이었던 논문이 2013년부터 2017년에는 79편(31.0%)으로 약 11% 이상 급증하였으며 호스피스간호 학문분야별로 심리학 분야가 92편(36.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호학 분야가 46편(18.1%)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별로 분석한 결과 말기암환자가 72편(28.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외에 1편(0.4%)은 HIV 바이러스, AIDS 환자였으며 아동 말기암환자도 2편(0.8%)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는 183 편(72.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 연구 22편(8.7%)으로많았다. 실험 중재는 총 34편(13.5%)으로 호스피스교육프로그램이7편(2.8%)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호스피스 간호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환자에 치중되어있었으며 소수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대상자의 연구가 적어 소수의 호스피스대상자와 가족대상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향후 근거기반의 간호연구 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순수 실험연구와 질적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연구주제가 심리적 변수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호스피스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인 통증 등의 생리적 변수를 적용한 실험 연구가 활성화되어 대상자의 통증중재프로그램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648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191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72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발행년 2019 

  • 조회 수 16033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1432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 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김학태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07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발행년 2011 

  • 조회 수 82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216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발행년 2013 

  • 조회 수 664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20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발행년 2008 

  • 조회 수 60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발행년 2008 

  • 조회 수 5263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발행년 2009 

  • 조회 수 3871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793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78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발행년 2007 

  • 조회 수 328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발행년 2003 

  • 조회 수 316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286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5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죽음개념의 변화 / 김경란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