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28478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Comparison of a Demand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박상은
  • 형태사항 : ⅶ, 102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숙영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2014. 8
  • 발행국 : 대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암환자, 가족, 연명치료 요구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결정이 환자 본인이 제외된 채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환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결정이 환자 본인이 제외된 채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환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를 파악하고 결정의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추후 말기 환자들을 위한 사전의사결정 정책이나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환자 1명과 그 환자를 돌보는 가족 1명을 1쌍으로 묶어 총 93쌍(18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28일부터 2014년 3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연명치료 중지를 위한 지침과 사전의료의향서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χ²-test, t-test, ANOVA, Scheffe test, Cohen's Kapp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환자들이 가장 많이 원하는 연명치료는 통증 조절로 응답 대상자의 90.3%가 원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은 코를 통한 산소공급 65.6%,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65.6%, 수혈 61.3%, 항암치료 42.7%, 강심제와 승압제 사용 40.9%, 위나 장을 통한 영양공급 36.6%,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36.6%, 혈액투석 30.1%, 제세동기 사용 21.5%, 심장마사지 17.2%, 장기이식 12.9%이었다.
    가족이 원하는 연명치료는 통증 조절 93.5%,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88.2%, 코를 통한 산소공급 86.0%, 수혈 86.0%, 제세동기 사용 73.1%, 위나 장을 통한 영양공급 66.7%,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65.6%, 항암치료 57.0%, 혈액투석 53.8%, 심장마사지 40.9%, 강심제와 승압제 사용 37.6%, 장기이식 19.4%로 가족들이 연명치료를 원하는 비율은 전 항목에서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명치료를 원하던 원하지 않던 암환자와 가족의 결정이 일치하는 비율은 통증 조절 86.0%, 수혈 69.9%,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67.8%, 코를 통한 산소공급 66.7%, 항암치료 59.1%, 강심제와 승압제의 사용 49.5%, 기도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46.3%, 장기이식 44.1%, 위나 장을 통한 영양 공급 41.9%, 혈액투석 41.9%, 심장마사지 34.4%, 제세동기 사용 32.8%, 순이었다.
    암환자의 연명치료 요구는 종교, 병원비 지불에 대한 부담, 암 진단 병기와 시기,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는 가구 소득과 환자의 암 진단 시기,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의 일치도는 낮게 나타났다.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이 있는 경우가 의논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환자와 가족은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논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환자와 가족에게 의료진의 개입을 통해 환자의 질병 상태와 연명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환자의 질병 상태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 의료진간의 충분한 의논을 통해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요지 = ⅰ

    목차 = ⅴ

    표목차 = ⅶ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5

    3. 용어 정의 = 6

    Ⅱ. 문헌 고찰 = 7

    1. 연명치료 = 7

    2. 연명치료 현황과 문제점 = 10

    Ⅲ. 연구 방법 = 15

    1. 연구 설계 = 15

    2. 연구 대상 = 15

    3. 연구 도구 = 17

    4. 자료 수집 방법 = 20

    5. 윤리적 고려 = 21

    6. 자료 분석방법 = 22

    Ⅳ. 연구 결과 = 23

    1. 일반적 특성 = 23

    2. 연명치료와 관련된 특성 = 27

    3. 연명치료 요구 = 31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요구의 차이 = 36

    5. 연명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요구의 차이 = 42

    6.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의 일치도 = 45

    Ⅴ. 논의 = 55

    Ⅵ.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70

    ABSTRACTS = 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15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150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8
    149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8
    1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147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4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145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7
    1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14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6
    14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14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4
    13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4
    138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3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3
    13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11
    135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10
    134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133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