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28478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Comparison of a Demand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박상은
  • 형태사항 : ⅶ, 102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숙영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2014. 8
  • 발행국 : 대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암환자, 가족, 연명치료 요구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결정이 환자 본인이 제외된 채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환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결정이 환자 본인이 제외된 채 다른 가족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환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를 파악하고 결정의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추후 말기 환자들을 위한 사전의사결정 정책이나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환자 1명과 그 환자를 돌보는 가족 1명을 1쌍으로 묶어 총 93쌍(186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28일부터 2014년 3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연명치료 중지를 위한 지침과 사전의료의향서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받아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χ²-test, t-test, ANOVA, Scheffe test, Cohen's Kapp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환자들이 가장 많이 원하는 연명치료는 통증 조절로 응답 대상자의 90.3%가 원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다음은 코를 통한 산소공급 65.6%,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65.6%, 수혈 61.3%, 항암치료 42.7%, 강심제와 승압제 사용 40.9%, 위나 장을 통한 영양공급 36.6%,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36.6%, 혈액투석 30.1%, 제세동기 사용 21.5%, 심장마사지 17.2%, 장기이식 12.9%이었다.
    가족이 원하는 연명치료는 통증 조절 93.5%,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88.2%, 코를 통한 산소공급 86.0%, 수혈 86.0%, 제세동기 사용 73.1%, 위나 장을 통한 영양공급 66.7%,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65.6%, 항암치료 57.0%, 혈액투석 53.8%, 심장마사지 40.9%, 강심제와 승압제 사용 37.6%, 장기이식 19.4%로 가족들이 연명치료를 원하는 비율은 전 항목에서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명치료를 원하던 원하지 않던 암환자와 가족의 결정이 일치하는 비율은 통증 조절 86.0%, 수혈 69.9%, 혈관을 통한 영양공급 67.8%, 코를 통한 산소공급 66.7%, 항암치료 59.1%, 강심제와 승압제의 사용 49.5%, 기도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 46.3%, 장기이식 44.1%, 위나 장을 통한 영양 공급 41.9%, 혈액투석 41.9%, 심장마사지 34.4%, 제세동기 사용 32.8%, 순이었다.
    암환자의 연명치료 요구는 종교, 병원비 지불에 대한 부담, 암 진단 병기와 시기,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는 가구 소득과 환자의 암 진단 시기,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의 일치도는 낮게 나타났다.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 경험이 있는 경우가 의논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환자와 가족은 연명치료에 대한 의논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논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환자와 가족에게 의료진의 개입을 통해 환자의 질병 상태와 연명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환자의 질병 상태에 대한 의학적 판단을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 의료진간의 충분한 의논을 통해 연명치료 시행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요지 = ⅰ

    목차 = ⅴ

    표목차 = ⅶ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5

    3. 용어 정의 = 6

    Ⅱ. 문헌 고찰 = 7

    1. 연명치료 = 7

    2. 연명치료 현황과 문제점 = 10

    Ⅲ. 연구 방법 = 15

    1. 연구 설계 = 15

    2. 연구 대상 = 15

    3. 연구 도구 = 17

    4. 자료 수집 방법 = 20

    5. 윤리적 고려 = 21

    6. 자료 분석방법 = 22

    Ⅳ. 연구 결과 = 23

    1. 일반적 특성 = 23

    2. 연명치료와 관련된 특성 = 27

    3. 연명치료 요구 = 31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요구의 차이 = 36

    5. 연명치료 관련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요구의 차이 = 42

    6. 암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의 일치도 = 45

    Ⅴ. 논의 = 55

    Ⅵ.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70

    ABSTRACTS = 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2014  959
    6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4
    »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0
    61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연변지역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인식 및 호스피스 인식 / 이춘란 2014  212
    6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5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52
    5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5
    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5
    55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2013  142
    5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5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 박재영 2011  210
    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5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50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49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4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의 치료중단 특성과 주간호제공자의 경험 / 김정희 2003  364
    47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4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4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