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4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9072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Concept of the "Legal Personality" in Life-Sustaining Treatment: Focusing on the Term of "Person"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초록 ( Abstract )

  • 이글은 연명의료 판결문에서 보이는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우리 헌법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무엇일 수 있으며, "인격체"개념의 기반을 이루는 요소는 무엇인지 고찰...
  • 이글은 연명의료 판결문에서 보이는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우리 헌법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무엇일 수 있으며, "인격체"개념의 기반을 이루는 요소는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면 연명의료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인격체"용어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찾아볼 수 없고, 헌법에서 "인격체"에 대응하는 용어는 "국민", "인간", "개인"이나, 이로는 "인격체"개념이 명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헌법과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를 대상으로 "국민", "개인", people·citizen, person·individual용어의 용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어들의 관계는 "개인"은 "국민"을 구성하고, person(individual)은 citizen(people)을 구성한다. 둘째, 권리의 주체는 "개인"과 person(individual)이다. 셋째, individual 용어는 '인권을 가진', '혼인과 가족생활의 기초', '대한민국 경제 질서의 기본'에 관여하는 "개인"을 지칭하며, person용어는, "신체의 자유"와 "신체의 자유"에 대한 피해와 관련된 권리를 가진 주체와 참정권, 재산권, 명예, 권리의 주체인 "국민", 인(人), 자(者)를 지칭한다. 넷째, "인간"과 human용어는 "국민"에 부여된 존엄, 가치, 권리, 생활의 특성과 "개인"이 가지는 권리의 특성 및 국가가 개발해야 할 자원의 특성에 관여하였다. 즉, "국민"과 "개인"이 가지는 존엄, 가치, 권리, 생활이 인간에게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는 용례와 국가 자원으로서 인력을 나타내는 용례를 보여줌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헌법의 체계에서 "개인"과 person·individual용어가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서의 용례를 보여준 반면, "인간"과 human용어는 권리나 의무의 주체로서 사용된 용례가 없음이 규명되었다. 이는 헌법의 "개인"과 "인간"용어가 보여주는 단적인 차이이다. 결론으로 우리 헌법의 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개인"이며, "개인"의 근간이 되는 요소는 그의 신체임을 제시하는 이글은 연명의료에서 "인격체"개념을 명료하게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 Index )

    Ⅰ. 머리말

    Ⅱ. 헌법에서 권리의 주체: "개인"

    Ⅲ. "개인"·person

    Ⅳ. "개인"·신체·"인격체"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1
    89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9
    8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2
    8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미연, 문미영 2018  212
    8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 박재영 2011  213
    85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3
    84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신뢰에 기반한 환자-의사 관계 / 오승민, 김평만 2018  213
    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관한 검토/원혜욱,백경희 2017  217
    8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32
    8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2013  242
    8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8
    7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1
    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6
    7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7
    76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7
    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72
    74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6
    7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80
    7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5
    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7
    70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