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0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4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9072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Concept of the "Legal Personality" in Life-Sustaining Treatment: Focusing on the Term of "Person"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초록 ( Abstract )

  • 이글은 연명의료 판결문에서 보이는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우리 헌법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무엇일 수 있으며, "인격체"개념의 기반을 이루는 요소는 무엇인지 고찰...
  • 이글은 연명의료 판결문에서 보이는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고자, 우리 헌법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무엇일 수 있으며, "인격체"개념의 기반을 이루는 요소는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인격체"개념을 명료화하면 연명의료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인격체"용어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찾아볼 수 없고, 헌법에서 "인격체"에 대응하는 용어는 "국민", "인간", "개인"이나, 이로는 "인격체"개념이 명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헌법과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를 대상으로 "국민", "개인", people·citizen, person·individual용어의 용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어들의 관계는 "개인"은 "국민"을 구성하고, person(individual)은 citizen(people)을 구성한다. 둘째, 권리의 주체는 "개인"과 person(individual)이다. 셋째, individual 용어는 '인권을 가진', '혼인과 가족생활의 기초', '대한민국 경제 질서의 기본'에 관여하는 "개인"을 지칭하며, person용어는, "신체의 자유"와 "신체의 자유"에 대한 피해와 관련된 권리를 가진 주체와 참정권, 재산권, 명예, 권리의 주체인 "국민", 인(人), 자(者)를 지칭한다. 넷째, "인간"과 human용어는 "국민"에 부여된 존엄, 가치, 권리, 생활의 특성과 "개인"이 가지는 권리의 특성 및 국가가 개발해야 할 자원의 특성에 관여하였다. 즉, "국민"과 "개인"이 가지는 존엄, 가치, 권리, 생활이 인간에게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는 용례와 국가 자원으로서 인력을 나타내는 용례를 보여줌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헌법의 체계에서 "개인"과 person·individual용어가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서의 용례를 보여준 반면, "인간"과 human용어는 권리나 의무의 주체로서 사용된 용례가 없음이 규명되었다. 이는 헌법의 "개인"과 "인간"용어가 보여주는 단적인 차이이다. 결론으로 우리 헌법의 체계에서 "인격체"를 지시하는 용어는 "개인"이며, "개인"의 근간이 되는 요소는 그의 신체임을 제시하는 이글은 연명의료에서 "인격체"개념을 명료하게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 Index )

    Ⅰ. 머리말

    Ⅱ. 헌법에서 권리의 주체: "개인"

    Ⅲ. "개인"·person

    Ⅳ. "개인"·신체·"인격체"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4
    40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6
    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7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8
    3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지시에 의한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강명구 2012  336
    3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9
    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6
    3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50
    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8
    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7
    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72
    30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6
    2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81
    2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5
    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5
    26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6
    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1
    2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7
    23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98
    2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1
    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