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문화인류학 Vol.43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7770138 

연구논문 :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Is Suicide among Rural Women in China a Form of Resistance?: A Critical Review of Western Discourses about Resistance and the Anthropological Analysis of Suicidal Behavior in Rural North China




초록 ( Abstract )

  • 최근 중국은 젊은 농촌 여성들의 빈번한 자살로 인해 역사상 유례없이 여성의 자살률이 남성보다 높은 국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학자들과 사회단체들은 지난 수십 ...
  • 최근 중국은 젊은 농촌 여성들의 빈번한 자살로 인해 역사상 유례없이 여성의 자살률이 남성보다 높은 국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학자들과 사회단체들은 지난 수십 년간 중국 정부의 개혁 정책이 만들어 낸 부정적인 영향의 결과라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논문은 먼저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을 시장개혁 시기 이들이 처해 있는 고통스러운 삶의 조건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하는 두 편의 논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각각 제임스 스콧과 미셸푸코의 저항 개념에 기대고 있는 이 논문들은 중국의 농촌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해 온 구조적 어려움들에 대해서 바르게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자살 행위가 가질 수 있는 저항적 성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여성 개개인이 자살을 문제해결 방식으로 선택하기까지 경험하는 다양한 개인적 삶의 맥락 및 과정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서구의 저항 개념에 의존함으로써, 다수의 중국인들이 자살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있는 저항의 의미를 구별해 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살 선택에 영향을 주는 중국 사회의 규범과 믿음 체계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다. 한편, 연구자가 북 중국 농촌 마을에서 수집한 여성의 자살 행위에 관한 민족지적 자료들은 저항적 성격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논의와는 사뭇 대비되는 사실들을 드러낸다. 자료에 근거해 볼 때, 농촌 여성들의 자살 행위는 분명히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구조적인 고통의 맥락을 보여 주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자살 행위가 반드시 저항적 동기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의 자살 행위는 자살을 시도하게 되기까지 각각의 여성들이 겪어 온 특수한 삶의 과정과 맥락, 그리고 그 안에서 형성해 온 다양한 감정적 경험들을 드러내 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중국 농촌의 여성 자살을 저항으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한 일반화일 수 있으며, 자살 행위에 관한 민족지적 현실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32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2010  143
    53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53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의 허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장한철 2018  143
    529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 안순녀 2019  143
    528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2019  143
    52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4
    526 20 죽음과 죽어감 지면보수교육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지침과 해설/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2017  144
    52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Directives) 모형 개발을 위한 실증 연구 / 홍성애 2010  145
    524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52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
    5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헌법적 근거, 범위, 환자의 의사확인을 중심으로 - / 박승호 2018  146
    52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46
    52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강경아 외 2010  147
    »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 이현정 2010  148
    51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노쇠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적정의료에 대한 연구 / 김도경 2013  148
    517 20 죽음과 죽어감 사례 중심으로 풀어보는 연명의료 / 이명아 2017  148
    516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515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안락사에 관한 국제법 및 비교법적 고찰 / 장복희 2011  149
    514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51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