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의료윤리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228349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lemma of a physician's role related to the autonomous decision-making of terminal patients : regarding to hospice care





초록 ( Abstract )

  • 본 논문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두 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말기 환자를 치료...
  • 본 논문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을 두 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환자 상태 및 예후에 대하여 그리고 호스피스에 대한 정보를 충분한 설명을 통해 고지하고, 말기 환자가 자율적으로 호스피스를 받을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은 호스피스전문 의사들이 「말기 환자의 호스피스 선택결정에 따라 다른 의료인들과 상의하여 팀 서비스로서 말기 환자와 가족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이 두 가지 단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적극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의사들이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낮고 불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어서 이러한 의사들이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을 수행 하는 것과 관련하여 딜레마가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한 가지 딜레마는 "의사들이 먼저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해아 하는데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이다. 또 다른 한 가지 딜레마는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충분한 설정을 통하여 말기 고지를 해야 하는데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이다. 본 논문은 첫 번째 단계에서의 의사의 역할에서 발생하는 두 가지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서 말기 환자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전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우선, 첫 번째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의사들의 입장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호스피스를 의료와 무관한 것으로 이해하는 의사, 2)호스피스를 안락사로 이해하는 의사, 3)호스피스를 치료포기로 이해하는 의사. 이러한 입장의 의사들이 호스피스 선택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 근거로서 "타인에게 해악을 끼치지 말라"는 악행금지의 원칙을 살펴보았다. 정당성을 고찰하는 논의 과정에서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바람직한 역할과 의무는 말기 환자가 자율적으로 호스피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두 번째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입장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의사가 가장 어려워하는 입장이 직접 고지에 대한 보호자의 반대가 있는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 근거로서 환자의 '알 권리'와 '환자의 선택권'을 살펴보았다. 정당성을 고찰하는 논의 과정에서 말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의 바람직한 역할과 의무는 말기 환자 및 보호자와 진실한 대화를 하여, 말기 환자의 옹호자가 되고 말기 환자와 보호자 사이에서 중재자가 되어, 말기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말기 고지를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 딜레마의 정당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에서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호스피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의사들이 첫 번째 단계에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었다. 그것은 말기 환자의 자율적인 호스피스 선택시기를 언제,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와 말기 고지에 대한 말기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를 미리 파악하는 것과 관련된 고려사항이었다. 이를 위해서 사전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왜냐하면 이 제도에 의해서 말기 환자의 자율성이 존중되어 바람직한 호스피스가 정착될 것이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4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173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80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83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발행년 2013 

    • 조회 수 19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 박재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211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신뢰에 기반한 환자-의사 관계 / 오승민, 김평만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1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연변지역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인식 및 호스피스 인식 / 이춘란

    발행년 2014 

    • 조회 수 2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발행년 2002 

    • 조회 수 2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발행년 2013 

    • 조회 수 2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발행년 2013 

    • 조회 수 242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발행년 2017 

    • 조회 수 2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발행년 2011 

    • 조회 수 2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발행년 2010 

    • 조회 수 284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28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발행년 2012 

    • 조회 수 30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