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3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사업단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7934551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General population's view on euthanasia


  • 저자 : 김선현
  • 형태사항 : 32p. : 도표 ; 26 cm .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사업단 2001. 2
  • KDC : 517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1
  • 주제어 : 안락사, Euthanasia, 인식도



초록 (Abstract)

최근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두된 여러 생명 윤리의 문제점들 중 특히 안락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해 점차 개방적으로 생각하는것이 전체적인 흐름이다.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자료가 구체적으로 나와 있고 실제로 시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들도 주로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 많아 일반인들의 인식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은 2000년 5월에서 7월까지 서울의 일개 구와 경기도내 한 지역의 고등학생 이상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기재가 미비된 것을 제외한 413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안락사에 대한 인식도와의 관계를 SAS 통계 프로그램 6.1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 중 안락사를 법제화해야 한다는 사람은 304명(73.6%)이었고 안락사의 범위를 능동적 안락사까지 허용한다는 사람이 156명(37.8%), 수동적 안락사를 허용한다는 사람이 234명(56.6%)이었다. 안락사의 대상이 본인인 경우 능동적 안락사는 35세 이상(P=0.001)에서 더 많이 시행한다고 하였고 수동적 안락사의 경우에는 학력이 낮을수록(P=0.046), 경제력이 낮을수록(P=0.040) 더 많이 시행하겠다고 하였고, 안락사의 대상이 타인일 때 능동적 안락사의 경우에는 남자(P=0.001), 35세 이상(P=0.001), 기혼(P=0.002)에서 더 많이 허용하였고 수동적 안락사의 경우에는 직업(P=0.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락사가 합법화되었을 경우 본인에게 능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는 경우는 35세이상(P=0.001), 기혼(P=0.022)에서 많았고 수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는 경우도 나이(P=0.001), 결혼여부(P=0.001)와 관련이 있었다. 타인에게 능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고 한 경우는 성별(P=0.004), 결혼여부(P=0.001)에서, 수동적 안락사를 시행하겠다고 한 경우는 나이(P=0.002), 결혼여부(P=0.017), 교육정도(P=0.025), 경제력(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일반인들은 안락사에 대한 법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연령과 교육, 경제력이 안락사 시행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표 차례

    국문 요약 = 1

    I. 서론 = 3

    II. 재료 및 방법 = 5

    1. 연구대상 = 5

    2. 연구방법 = 5

    3. 통계 = 6

    III. 결과 = 7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7

    2. 안락사의 법제화 필요성 여부와 허용 범위 = 9

    3. 본인에 대한 안락사의 허용정도 = 10

    4. 타인에 대한 안락사의 허용정도 = 13

    5. 안락사가 합법화 되었을 경우 본인에 대한 안락사의 허용정도 = 13

    6. 안락사가 합법화 되었을 경우 타인에 대한 안락사의 허용정도 = 13

    7. 안락사를 찬성하는 이유와 반대하는 이유 = 16

    8. 가족 중 안락사를 고려했던 질환의 빈도와 기간 = 17

    IV. 고찰 = 20

    V. 결론 = 25

    참고문헌 = 26

    영문요약 = 30

    별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504
    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228
    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70
    2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19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91
    18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98
    1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1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8
    1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 유종호 2005  185
    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7
    1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60
    1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1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8
    1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63
    9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7
    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21
    7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51
    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24
    5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8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