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6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26967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The Euthanasia from the Viewpoint of Ethics


  • 저자 : 정혜련
  • 형태사항 : 41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권용혁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 2007. 2
  • KDC : 195
  • DDC : 174
  • 발행국 : 울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안락사, 안락사 찬성, 안락사 반대, 호스피스, Living Will 운동, Ethics



초록 (Abstract)

과학의 발달과 함께 진행되어온 의료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던 대부분의 질병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 과학과 의학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여전히 늙고, 병들어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한다. 의학적으로 해결해내지 못하는 질병과 고통들을 안락사라는 자연스럽지 못한 죽음을 원하게 만들었다. 회복될 수 없거나 불치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환자의 죽음을 유발시키거나 허용하는 관행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안락사는 고대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술되어져 왔고, 최근에는 네덜란드, 스웨덴 등의 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적으로 제도화되기에 이르렀다.
안락사 문제는 뇌사 판정과 장기 이식의 필요와 맞물려 많은 논쟁을 낳고 있다. 안락사의 도덕성 문제에 대한 쟁점은, 안락사 시술의 의도가 남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순수한 마음이라 하더라도, 과연 생명을 인위적으로 종식시켜가면서까지 고통을 덜어주려는 것이 과연 도덕적으로 옳은가 하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안락사 개념의 모든 의도와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안락사 시술의 엄격한 기준은 결정되어야 한다. 안락사 시술의 결정은 오직 환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논의되고 결정되어야 하고, 오진이나 오판의 경우를 막을 수 있는 적절한 구조적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안락사의 대안으로서의 호스피스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시키며, 호스피스 활동의 범위와 영역을 전문화시키고 확장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말기 환자의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한 의료적 연구와 신경정신학적 연구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고, 그 가족을 위한 사회적 배려의 방법도 강구되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6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1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14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13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1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1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10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6
9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6
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7
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2008  52
»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97
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