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199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3549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A) Christian Feminist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Aging Issue


  • 저자 : 이승리
  • 형태사항 : v, 120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112-11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1997. 8
  • KDC : 234.1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1997
  • 주제어 : 노인문제, 기독교, 여성윤리, 효사상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경제 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기를 보내는 노인의 숫자가 늘어나고, 개인마다 노년기가 길어지는 추세에 있어서 우리나라도 선진국형 인구분포를 보일 날이 머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현실 역시 부정할 수 없다. 과거 농경사회의 대가족제도 하에서는 강력한 '효'사상이 노인문제의 발생 원인을 억제시킬 수 있었으나, 산업사회로 들어오면서 빠르게 진척된 핵가족화와 도시화로 인해 노인문제는 더이상 '가정 내의 문제'로만, 곧 '불효의 문제'로만 돌릴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떠오르고 있는 노년층의 각종 문제들, 이를테면 가정과 사회에서 노인의 설 자리가 축소되고 소외감이 가중되며 귀찮은 '짐짝'같은 존재로 전락하여, 안락사나 자살, 가출과 같은 극단적 방법을 택하는 노인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현실은 새삼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반증한다.
여기서 우리는 현대의 노인문제가 좀더 폭넓은 차원의 사회적 문제임을 직시해야 한다. 인간의 '늙음'에 대한 사회적 거부와 생산성·효율성을 인간 존재의 가치 척도로 삼는 물질만능주의적 세계관, 그리고 이기심에 근거한 서구 개인주의의 보급 등이 노인문제의 배경에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은 노인문제를 현대 사회의 병적 징후로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제야말로 우리 사회의 건강성 회복의 지름길이 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노인문제에 대한 수많은 논의들은 대개 전통적인 '효'사상의 복원을 주장한다. 효사상의 퇴색으로 가정과 사회의 도덕적 파탄이 야기되었으니 효만 회복하면 노인문제는 자연히 해결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복고주의자들은 '효'의 주체가 결국 여성으로서, 특히 며느리에게 떠맡겨진 과중한 책임이었음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효'의 강조는 노인 부양의 과제를 국가와 사회가 나누어 지기는 커녕, 가정 내의 사적 부양으로 못박으려는 이데올로기의 형태를 띄고 있어서 핵가족 시대의 여성들에게 이중 삼중의 부담을 안겨준다. 그러므로 의무론적 차원에서 강조되던 '효'를 이제는 공적부양의 구조로, 또한 효의 대상과 주제가 서로 나누는 관계적 상호애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공적 부양이라 함은 정의의 윤리가 요청하는 것이고, 관계적 상호애라 함은 돌봄의 윤리의 내용이다. 이렇게 재해석된 '효'는 전통적인 기독교에서 가르쳐온 자기포기나 희생의 윤리가 아닌, 서로를 돌보는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으로서 생명을 살리는 힘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함에 있어서 기독교 사회윤리의 분석과 여성윤리의 내용에 의지하는 한편, 그 틀로는 월터 뮬더(Walter G. Muelder)의 책임사회 이념에 기초한 '인격적 공동체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책임사회는 자연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책임있는 설계에 의해 형성되는 책임가족 위에서만 건립되며, 책임가족은 인격적 공동체주의가 최초로 실험되고 구현되는 장(場)이다. 가정과 교회, 그리고 사회속에서 노년의 시기를 자연스러운 삶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고, 모든 인간의 '늙을 권리'를 지지해 주는 인격적 공동체가 확산될 때, 우리 사회의 인간 소외현상의 하나인 '연령차별주의'(Ageism)는 비로소 종식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1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2014  411
511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51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09
509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50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6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506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4
505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3
50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50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5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400
50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50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49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49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7
49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4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4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49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4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