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2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기독교와문화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60176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저자 : 김성용
  • 형태사항 : 62 p.; 30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59-6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기독교와문화 2012.2
  • DDC : 241.642 21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 주제어 : 안락사, 생명윤리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 필자는 소극적 안락사에 대해 바른 기독교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미국의 의료윤리학자인 윌리엄 F. 메이의 생명윤리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Ⅱ부에서는 메이의 기독교윤리사상의 배경을 살펴보면서, 특히 그의 신학적 배경으로서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과 가톨릭의 자연법 사상이 어떻게 메이의 기독교윤리사상의 배경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그의 문학적 원천에 대해 살펴보면서, 그의 작품들을 숨가쁘게 채우고 있는 문학적 이야기들이 그에게 어떤 사상적 원천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부에서는 메이의 생명윤리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먼저 그의 생명윤리 방법론의 배경이 되는 이야기윤리 방법론을 살펴보면서, 메이의 생명윤리 방법론 속에서 이야기윤리가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지를 4가지의 소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그의 생명윤리 방법론을 살펴보면서 ‘수정적 비전(corrective vision)’과 ‘의사의 언약(physician's covenant)’이라는 큰 흐름을 통해 접근한 후에 그의 생명윤리 방법론을 덕윤리적 관점에서 정리해 보았다.
Ⅳ부에서 필자는 메이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라 소극적 안락사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소극적 안락사에 관련된 정의와 개념들을 살펴보았고, 주요 논점들을 점검해 보았으며, 소극적 안락사를 의무론적 방법론과 목적론적 방법론으로 접근할 때,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가 왜 불만족스러운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후, 메이의 생명윤리 방법론을 적용하여 소극적 안락사의 문제를 접근한 후에, 그의 방법론에 따라 소극적 안락사의 문제에 대해 제시될 수 있는 몇 가지 해결책 및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소극적 안락사의 문제에 대해 메이의 관점에서는 수정적 비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생명과 죽음, 부활의 교육이 필요하며, 서둘러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법개정을 하기보다는 완화치료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본 후, 소극적 안락사 문제에 완화치료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 Ⅴ장에서 필자는 결론으로 본 논문의 요약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1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51
1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1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5
9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41
»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3
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11
6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11
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1
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4
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3
2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4
1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