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 Vol.43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14866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The Sanctity of 생명 and the dignity of 삶


  • 제어번호 : 100314866
  • 저자명 : 강철
  •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 Vol.43 No.2 [2014]
  • 발행처 :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9-121(43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연명의료 ,생명 ,삶 ,고귀성 ,존엄성 ,서사성 ,존엄한 삶의 권리 ,life ,sanctity ,dignity ,life-sustaining treatment ,narrativity


초록 (Abstract)

현대 생명연장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발전가능성은 우리 사회에 연명의료에 관한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특히 지난 대법원판결(2009다17417 무의미한 연명의료장치 제거 등)과 헌재판결(2008헌마385 임법부작위 위헌확인) 이후에 우리 사회의 담론의 지형은 '연명의료중단, 허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에서, '언제 어떤 이유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정당한가'의 문제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연명의료를 제도화하려는 현 단계에서 두 가지 문제가 관건이라고 보는데, 하나는 '어떤 요소를 얼마만큼 비중있게 검토해야 하는지'이고, 다른 하나는 '어떤 절차를 거쳐서 연명의료 사안에 접근해야 하는지'이다. 본 논문은 두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념들과 이론적 논거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인간존재를 구성하는 근본적인 두 현상은 '생명'과 '삶'이라고 보며, 이것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생명에서는 '인간존재의 변화양태'를, 삶에서는 '서사성'을 주의 깊게 살필 것이다. 둘째,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을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헌법 제10조 제1문 전단으로부터 '생명권'뿐만 아니라 '존엄한 삶의 권리'도 도출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셋째, 생명연장기술이 급속히 발달하는 시대에도 우리의 인식과 가치관을 총체적으로 지도하고 규제해 줄 기본원리는 헌법이라고 본다. 이런 입장에서 헌법의 기본이념과 가치질서가 변화되어야 한다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넷째, 연명의료 사안에서 주목할 만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추론절차를 거쳐서 그 사안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자기결정의 인정'과 '자기결정의 존중'이라는 구분에 의거한 두 가지 절차를 검토할 것이다. 다섯째 '존엄한 삶의 권리'와 '생명보호의무'라는 개념에 근거해서 연명의료에 관한 새로운 이론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일부에서 주장하는 '죽을 권리'가 아닌 '존엄한 삶의 권리'가 헌법상의 권리로 인정되어야만 하는 논거를 제시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생명과 삶

    Ⅲ. 고귀성(高貴性)과 존엄성(尊嚴性)

    Ⅳ. 연명의료의 추론절차

    Ⅴ. 연명의료의 이론구성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2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25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25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249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9
    2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24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246 20 죽음과 죽어감 보훈병원에 내원한 국가유공자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및 윤리적 태도 / 안혜영 2014  380
    »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1
    24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주 형법상 자살관여행위 규제에 관한 입장과 그 시사점 / 임정호 2014  382
    24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그리고 의사의 진료의무 2008  382
    24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3
    24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7
    24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2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2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2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2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7
    23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234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23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