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사상 Vol.5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66920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Fair Distribution of Benefits and Burdens of Health Care between the Working Generation and the Retired Generation in an Ageing Society


  • 제어번호 : 100066920
  • 저자명 : 박상혁(Park, Sang-Hyuk)
  • 학술지명 : 철학사상
  • 권호사항 : Vol.52 No.- [2014]
  • 발행처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61-287(2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105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근로세대 ,은퇴세대 ,세대간 정의 ,세대간 상호독립성 ,세대간 상호의존성 ,working generation ,retired generation ,intergenerational justice ,generational independence ,generational interdependence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에 보건의료의 혜택과 부담을 분배하는 정의로운 원리가 무엇인지 모색한다. 이와 관련해서 크게 두 가지 입장이 대립하고 있는데 세대간 독립성과 경쟁을 강조하는 입장과 세대간 상호의존과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필자는 우선 세대간 상호독립성을 강조하는 입장은 부적절하고 세대간 상호의존성과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이 적절하다고 논한다. 그런데 세대간 상호의존과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은 연명치료 이용을 제한해야 하는지를 두고 이설이 존재한다. 필자는 연명치료 이용을 제한하지 않는 입장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 평가한다. 그런데 제한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입장에는 다시 캘러헌처럼 공동체주의적 기반위에서 그렇게 해야 한다는 입장과 대니얼즈처럼 자유주의도 그런 제한을 가할 수 있다는 입장이 경쟁한다. 필자는 캘러헌의 공동체주의가 아니라 대니얼즈의 자유주의적 세대간 정의론이 연명치료를 제한하는 정당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대니얼즈의 이론을 강화하기 위해 그의 이론에 제기된 비판들에 응답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들어가는 말

    Ⅱ. 세대간 상호독립성을 강조하는 입장

    Ⅲ. 미국 노년학회의 ‘제한 없는’ 자유주의와 그에 대한 평가

    Ⅳ. 캘러헌의 공동체주의 세대간 정의론과 그에 대한 평가

    Ⅴ. 자유주의적 세대간 정의론: 대니얼즈의 타산적으로 합리적인 생애이론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2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53
    391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390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389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3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0
    387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38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385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38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383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2
    38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381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38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3
    379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79
    37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4
    37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37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
    374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98
    37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