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 Vol.37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59047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Related Factors and Death Preparation: A Comparison of Pre-elderly and Baby-boomers


  • 제어번호 : 99959047
  • 저자명 : 정순둘(Soondool Chung) ,김수현(Su-Hyun Kim) ,구미정(Mi-Jung Koo)
  •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권호사항 : Vol.37 No.1 [2014]
  • 발행처 : 한국인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1-153(2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319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죽음준비 ,죽음관련 요인 ,예비노인 ,베이비부머 ,Death Preparation ,Death Related Factors ,Pre-Elderly ,Baby Boomers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들의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를 비교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들의 노후준비로서 죽음준비의 필요성을 제고하고자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이며, 15개 광역시도별로 비례추출하여 죽음준비, 죽음에 대한 생각, 죽음대비 사전조치에 대한 인지정도와 동의정도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노인은 가족의 죽음과 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할수록, 존엄사에 대한 내용을 잘 인지할수록, 유언장 작성에 대한 동의정도가 강할수록 죽음준비가 높았다. 베이비부머는 일반적인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할수록, 존엄사에 대한 내용과 유언장 작성에 대해 잘 인지할수록, 유언장 작성과 장기기증에 대한 동의정도가 강할수록 죽음준비가 높았다. 인구사회학적특성 중에서는 예비노인의 경우 치료중인 질환 여부와 삶의 만족도가, 베이비부머의 경우 주관적 신체건강과 주관적 경제상태 인식이 죽음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관련 요인으로서, 죽음에 대한 생각은 베이비부머보다 예비노인이 더 자주 하며, 죽음대비 사전조치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정도와 동의정도는 예비노인보다 베이비부머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죽음준비가 좋은 죽음을 준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앞으로 남은 삶에 대한 준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이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인식하고 죽음준비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1
    21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21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28
    21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8
    20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9
    20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30
    20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3
    206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4
    2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5
    20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시설 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일치도 비교 : 충남 공주시 지역 장기요양시설 중심으로 / 임선미 2014  437
    20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7
    20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2007  438
    2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강다영 2014  439
    20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41
    1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41
    19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6
    197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6
    19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6
    1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50
    194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50
    193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