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와 철학 제30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43328 



사회와 철학 제30호, 2015.10, 199-224 (26 pages)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죽음의 자유와 도덕

From Bio logical Death to Humane Death
권수현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사회와철학연구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43328


한국어 초록
죽음의 대척점에는 삶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호흡과 맥박이 완전히 멈춘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해 왔던 반면에 현재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뇌사는 뇌의 완전한 기능정지만으로도 죽음의 판정이 가능하다. 뇌사를 인정하는 이유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서 무의미한 첨단의료기술의 개입을 중단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장기이식을 위한 신선한 장기의 공급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런 뇌사판정에는 윤리적, 법적 차원의 논쟁점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어, 지속적인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생명의 생물학적 정의를 통해서 살펴보면서, ‘생명’과 ‘죽음’이 ‘그 자체로 본질적인’ 실체에 대한 개념이 아니라 일련의 과정임을, 그리고 복합적 특징을 갖는 통합적 메타개념임을 밝힌다. 생명과 죽음은 개념적으로 모순대립의 성격을 가지며 서로가 서로를 배제하지만 인간의 죽음에는 뇌사와 같이 죽어가는 과정인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그래서 인간의 죽음은 생물학적 죽음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죽음이 생물학적 사건인 동시에 규범적 사건이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에 죽음은 친숙한 자연현상이었으며 죽어가는 자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죽음은 불쾌와 혐오의 대상으로 변화하며 일종의 질병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죽음을 극복하고 은폐하는 공간으로서 병원이 등장하여 죽음의 의료화가 진행되는 동안 사람들은 철저히 자신의 죽음으로부터 소외되어 왔다. 죽음의 존엄성을 되살리고 인간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한 담론이 공론장에서 활성화되고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인정되어야 한다.






목차
[논문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뇌사란 무엇인가?
Ⅲ. 생명의 생물학적 정의
Ⅳ. 죽음의 의료화
Ⅴ. 죽음의 자기결정권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15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150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8
149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8
1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147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46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 권용진, 임영덕 2011  117
145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7
1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14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관한 연구 2010  116
142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14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4
13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4
138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3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3
13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11
135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10
134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133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