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7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 저자  : 정운경

- 형태사항 :  viii, 18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변상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가족상담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웰다잉,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

- 소장기관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중앙도서관




- 초록

본 연구는 ‘그저 기다리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품위 있는 죽음’으로서의 웰다잉을 위해 노인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돕고,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웰다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행복한 노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0시에 소재하는 A요양원에 생활 중인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30명은 실험집단으로 3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1월 29일까지 거리적 제한으로 인해 격주로 1일 2회기씩 시행하였으며, 각 회기 당 90~150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다잉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죽음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변인인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속변인에 해당하는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매개변인인 죽음불안은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웰다잉 프로그램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죽음불안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목차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3. 연구의 문제 5
  • 4.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웰다잉 8
  • 가. 죽음의 개념 8
  • 나. 죽음에 대한 관점 9
  • 다. 죽음 관련 이론 14
  • 라. 웰다잉의 개념 23
  • 마. 웰다잉 프로그램 25
  • 2. 한국의 웰다잉 프로그램 실제 35
  • 가.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교육 35
  • 나. 기관 및 단체의 교육 53
  • 3. 삶의 질 59
  • 가. 삶의 질 개념 59
  • 나. 삶의 질 영향요인 61
  • 4. 죽음불안 63
  • 가. 죽음불안 개념 63
  • 나.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불안 64
  • 다. 죽음불안 영향요인 67
  • 5. 자아통합감 70
  • 가. 자아통합감 개념 70
  • 나. 자아통합감 근거 성취 노년기 발달과제 72
  • 6. 선행연구 74
  • Ⅲ. 연구방법 77
  • 1. 연구대상 77
  • 2. 연구설계 77
  • 가. 실험설계 77
  • 나. 연구과정 78
  • 다. 연구모형 80
  • 3. 연구가설 81
  • 4. 프로그램 구성 81
  • 가. 프로그램 개요 81
  • 나. 프로그램 내용 82
  • 다. 회기별 프로그램 84
  • 5. 조사도구 98
  • 가. 죽음불안 99
  • 나. 삶의 질 100
  • 다. 자아통합감 100
  • 6. 자료처리 101
  • Ⅳ. 연구결과 103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03
  • 2. 동질성 검증 106
  • 가. 인구통계학적 특성 동질성 검증 106
  • 나. 삶의 질 동질성 검증 107
  • 다. 죽음불안 동질성 검증 108
  • 라. 자아통합감 동질성 검증 109
  •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별 차이 109
  • 가. 삶의 질 109
  • 나. 죽음불안 110
  • 다. 자아통합감 111
  • 4. 가설검증 112
  • 5. 가설검증결과 122
  • 6. 대상자 배경 및 인터뷰 124
  • Ⅴ. 논의 141
  • Ⅵ. 결론 150
  • 1. 요약 150
  • 2. 제언 151
  •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연구방향 152
  • 참고문헌 153
  • ABSTRACT 168
  • 부록 17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발행년 2016 

    • 조회 수 27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2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발행년 2010 

    • 조회 수 295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오승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298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30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342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발행년 2015 

    • 조회 수 36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발행년 2013 

    • 조회 수 36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37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3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발행년 2018 

    • 조회 수 418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3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발행년 2010 

    • 조회 수 42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발행년 2005 

    • 조회 수 429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발행년 2014 

    • 조회 수 43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66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