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http://www.riss.kr/link?id=T13658728


- 저자  : 정운경

- 형태사항 :  viii, 18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변상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상담학과 가족상담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웰다잉,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

- 소장기관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중앙도서관




- 초록

본 연구는 ‘그저 기다리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품위 있는 죽음’으로서의 웰다잉을 위해 노인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돕고,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웰다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행복한 노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0시에 소재하는 A요양원에 생활 중인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30명은 실험집단으로 3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1월 29일까지 거리적 제한으로 인해 격주로 1일 2회기씩 시행하였으며, 각 회기 당 90~150분씩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다잉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죽음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변인인 삶의 질, 죽음불안, 자아통합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속변인에 해당하는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은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매개변인인 죽음불안은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검증 결과 웰다잉 프로그램과 삶의 질, 웰다잉 프로그램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죽음불안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목차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 3. 연구의 문제 5
  • 4.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웰다잉 8
  • 가. 죽음의 개념 8
  • 나. 죽음에 대한 관점 9
  • 다. 죽음 관련 이론 14
  • 라. 웰다잉의 개념 23
  • 마. 웰다잉 프로그램 25
  • 2. 한국의 웰다잉 프로그램 실제 35
  • 가.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교육 35
  • 나. 기관 및 단체의 교육 53
  • 3. 삶의 질 59
  • 가. 삶의 질 개념 59
  • 나. 삶의 질 영향요인 61
  • 4. 죽음불안 63
  • 가. 죽음불안 개념 63
  • 나.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불안 64
  • 다. 죽음불안 영향요인 67
  • 5. 자아통합감 70
  • 가. 자아통합감 개념 70
  • 나. 자아통합감 근거 성취 노년기 발달과제 72
  • 6. 선행연구 74
  • Ⅲ. 연구방법 77
  • 1. 연구대상 77
  • 2. 연구설계 77
  • 가. 실험설계 77
  • 나. 연구과정 78
  • 다. 연구모형 80
  • 3. 연구가설 81
  • 4. 프로그램 구성 81
  • 가. 프로그램 개요 81
  • 나. 프로그램 내용 82
  • 다. 회기별 프로그램 84
  • 5. 조사도구 98
  • 가. 죽음불안 99
  • 나. 삶의 질 100
  • 다. 자아통합감 100
  • 6. 자료처리 101
  • Ⅳ. 연구결과 103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03
  • 2. 동질성 검증 106
  • 가. 인구통계학적 특성 동질성 검증 106
  • 나. 삶의 질 동질성 검증 107
  • 다. 죽음불안 동질성 검증 108
  • 라. 자아통합감 동질성 검증 109
  •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별 차이 109
  • 가. 삶의 질 109
  • 나. 죽음불안 110
  • 다. 자아통합감 111
  • 4. 가설검증 112
  • 5. 가설검증결과 122
  • 6. 대상자 배경 및 인터뷰 124
  • Ⅴ. 논의 141
  • Ⅵ. 결론 150
  • 1. 요약 150
  • 2. 제언 151
  •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연구방향 152
  • 참고문헌 153
  • ABSTRACT 168
  • 부록 17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15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73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발행년 2011 

    • 조회 수 123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발행년 2012 

    • 조회 수 18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발행년 2011 

    • 조회 수 742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발행년 2012 

    • 조회 수 31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34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2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발행년 2010 

    • 조회 수 16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발행년 2002 

    • 조회 수 216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 지침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란에 대한 법적, 윤리적 검토 / 유호종

    발행년 2002 

    • 조회 수 12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발행년 2007 

    • 조회 수 16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발행년 2010 

    • 조회 수 16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6480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7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발행년 2015 

    • 조회 수 53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