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복지포럼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95388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보건복지포럼 2015년 7월호 통권 제225호, 2015.7, 38-47 (10 pages)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The Elderly and Hospice Palliative Care
장윤정



  •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95388




  • 한국어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삶의 질 향상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적 활성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철학을 바탕으로, 노인대상의 보건의료제도는 이제 ‘노인이 가진 질환치료와 관리’ 중심의 관점에서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이 일상생활의 영유와 삶의 질 향상’으로 목표를 전환해야 할 때가 도래했다. 질환 치료중심의 관리체계를 확대하여 질환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완화의료적 접근(palliative care approach)과 통합된(integrated) 전인돌봄(holistic care)이 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제공될 때, 진정한 삶의 질 향상과 죽음의 질 보장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운동이 필요하다.

                                             

    목차

    1. 들어가며
    2.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개념
    2. 호스피스 완화의료 대상 질환과 그 특징
    3. 우리나라의 암질환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화
    4. 우리나라의 비암성 질환 대상의 완화의료적 접근(palliative care approach) 현황
    5. 호스피스 완화의료 정착을 위한 연명의료의 결정 관련 사전의료계획과 임종 문화
    6. 나가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32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43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430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20
    42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42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42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2012  318
    42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425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424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김건 2013  312
    42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태도,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영적안녕과의 관계 / 안옥희 2019  311
    4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7
    42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5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장윤정 2015  304
    41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418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4
    4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비교 / 윤은자, 김현정, 전미순, 윤정아 2012  301
    41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415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오승은 2017  297
    41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5
    41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 판결 이후의 과제 / 박형욱 2012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