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사회연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22335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2015.09, 222-252 (31 pages)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nd-of-Life Care Inten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Social Workers’ Perspective
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22335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임종케어 관련 요인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적 측면에서 비교연구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서울/경기지역)과 미국(남부)에 거주하는 사회복지사 또는 예비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246명, 10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한 분석결과 첫째, 임종케어에 대한 일반적 요인 중에서 한국은 임종케어 훈련참가여부와 임종케어에 대한 필요성 인지정도가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의 경우 임종케어에 대한 필요성 인지정도만이 제공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종케어의 전문성 요인과 관련하여 한국은 임종케어 경험이 제공의향에 영향을 보인 반면, 미국은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치부여만이 제공의향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에서 한국은 종교유무가 미국은 결혼여부가 임종케어 의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임종케어 관련요인과 제공의향에 대한 문화적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측면의 실천적 접근방법을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371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 지침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란에 대한 법적, 윤리적 검토 / 유호종 2002  123
    3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6
    3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4
    36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214
    36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40
    36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김정선 2012  318
    365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4
    364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41
    36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7
    362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7
    36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8
    360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35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이태연, 권윤희 2014  334
    35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7
    357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3
    35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장윤정 2015  304
    355 20 죽음과 죽어감 저소득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명숙, 김준수 2015  470
    »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35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환자 돌봄 경험/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2015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