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89598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생명윤리 제16권 제1호, 2015.6, 1-19 (19 pages)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on of Edith Stein and hospital association of the family in Hospice Philosophy

이은영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89598



  • 한국어 초록

    복지부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의결,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 등을 통해 오는 7월부터 56개 호스피스 전문기관에서 이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두 번째,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시범사업도 진행해 다양한 호스피스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라는 것과 세 번째, 호스피스 전문기관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별 적정 입원 병상 관리’, ‘부실한 호스피스 전문기관 퇴출 유도’ 등을 지침으로 발표하였다. 필자는 위와 같은 복지부 발표 내용 중에서 두 번째 ‘가정호스피스 제도’에 대한 중요성을 이 글에서 언급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왜 환자가 무엇 때문에 가정호스피스를 더 원하고 있는가? 국내에서도 가정 호스피스를 원하는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대학 병원에서만 가정 호스피스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완 방법이 요구된다.
    그런데 만일 현실적으로 가정까지 연결되는 호스피스의 실행이 지금 현재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다면, 환자가 무엇 때문에 가정호스피스를 더 원하고 있는가? 에 대하여 고민하고, 그 요소를 병원호스피스에 연결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를 제시한다. 그렇다면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를 이루기 위해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환자가 병원을 마치 가정에서 치료를 받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물론 무의미한 ‘연명치료’보다는 일상생활을 했던 곳에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하기’에 일차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좀 더 중요한 의미로 필자는 ‘사랑과 공감을 토대로 한 관계(태도)’를 그 요소로 지정한다. 무엇보다도 간호 제공자와 환자 사이의 관계(태도)가 그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를 이루기 위한 요소로 사랑과 공감을 토대로 한 관계를 지정하며, 호스피스 활동이 아닌 ‘호스피스 철학’에서 강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호스피스 철학이 갖는 의미를 철학자이자 가톨릭 성인(聖人) 에디트 슈타인(Edith Stein, 1891-1942)의 사상을 통하여 간호 현상학과 간호 영성이라는 지점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우리나라 호스피스 현황과 발전 방안
    3. 호스피스 철학이란 무엇인가?
    4. 슈타인의 사랑과 공감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5. 슈타인의 사랑과 공감에 대한 영성적 고찰
    6. 결론을 대신하며 :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를 위한 철학과 간호학의 융합 가능성을 기대하며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2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생애 말기 돌봄에 있어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 탐색/류지선, 백정원, 김숙남 2015  631
    351 20 죽음과 죽어감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의사조력사를 중심으로/김하열 2016  470
    »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34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3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2
    34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결정에서 의료의 한계/안용항, 김혜정 2010  137
    346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硏究論文) :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문성체 2009  188
    3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과 그 시사점/최영순 외 2015  223
    34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과 유보 결정에 대한 한국 중환자 전담의사 인식과 실행/김소윤 외 2009  138
    34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이동익 2009  195
    34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34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340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90
    339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55
    338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은미, 고진강 2015  325
    337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2014  80
    336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335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방안/정복례 2014  114
    33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환자 가족의 역할: 말기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장원경 외 2015  342
    33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이경남, 김분한, 이훈희 2010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