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계명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66871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 임선숙


저자 임선숙

형태사항 ⅲ, 66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영숙
               지도교수: 박경민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기초간호 및 성인간호전공 2015. 8

발행국 대구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주제어 요양병원, 간호사, 죽음인식, 임종간호

소장기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에 관해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북지역에 소재한 7개 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65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3월 16일부터 3월 24일까지 하였다. 연구도구로 죽음인식은 이누미야 요시유키의 내세관을 제외한 사생관 척도 (View of Life and Death Scale)와 임종간호 태도는 Frommelt의 FATCOD (Frommelt Attitudes Toward Care of Dying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인식 중 긍정적 의미에 대한 이해는 7점 만점에 평균 4.62점, 부정적 의미에 대한 이해는 평균 4.73점, 죽음불안은 평균 4.20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3.70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62점이었으며 임종간호 태도는 5점 만점에 3.5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난 변수들은 최종학력에서 죽음의 긍정적 의미에 대한 이해 (t=-2.04, p=.043), 죽음의 부정적 의미에 대한 이해 (t= 2.37, p=.019) 의 차이가 있었으며, 죽음관여도에서는 직위 (F=4.43, p= .005), 생명존중의지에서는 종교에 대한 중요도 (F=3.18, p=.026), 자신의 임종간호 유형 (F=3.73, p=.027)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태도 차이는 임종관련 교육시간 (F=3.33, p=.007), 최근 1년 이내 죽음경험 대상자 (F=2.39, p=.040) 이었다. 4. 임종간호 태도와 죽음의 긍정적 의미 (r=.26, p=.001), 죽음관여도 (r=.22, p=.004), 생명존중의지 (r=.24, p=.002)는 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불안 (r=-.29,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죽음의 긍정적 의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관여도가 높을수록, 생명존중의지가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긍정적인 임종간호 태도를 위해서는 죽음의 긍정적 의미에 대한 인식과 죽음관여도, 생명존중 의지를 강화시키고 죽음불안을 낮출 수 있는 임종간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용어정의
Ⅱ. 문헌고찰
1. 죽음인식
2. 임종간호 태도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6.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죽음인식
3. 대상자의 임종간호 태도 20&#xD;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 차이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태도 차이 
6. 대상자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간의 상관관계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 록 
영문초록
국문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2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2011  246
371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명윤리에서 본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연구 2017  247
37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헌법이론적 논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2010  247
36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김명회 2018  248
36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하여 / 정재우 2009  250
3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36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1
36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364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3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36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4
36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5
36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5
35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과 관련하여 / 손수지 2012  256
35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 김지혜 외 2018  256
357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완화의료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종사자의 인식 / 문이지 외 2019  257
356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9
355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비-암환자의 임종기 치료 강도 비교 / 김재민 2015  259
3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종희 2017  259
35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에서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 고윤석 2013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