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408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저자 김애리

형태사항 60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윤태영
             참고문헌 : p. 34-3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병원행정전공 2016. 2

DDC 351-E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연명치료, 심폐소생술금지. 사전의료의향서

소장기관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우리 사회는 개인의 알권리를 존중하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와는 사뭇 다른환경으로 말기 환자에게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되었다. 또한 가족을 공동운명체로 여기는 유교주의 문화에서 환자의 생명에 관해 환자 본인보다는 보호자인 가족의 결정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동양의 전통 효 사상이 연명치료 거부에 대한 소극적 인식을 유발 시켰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최근 연명치료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나 우리나라 의료계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가 모든 병원에 적용되고 있지 않으며 사전의료의향서는 법적 효력이 없고 연명치료 중단은 현행법상 불법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연명치료와 관련된 결정을 하여야만 하는 경우는 늘어나고, 저출산 및 비혼자의 증가로 가족 관계의 단순화가 나타나는 현실에서 연명치료 결정을 위한 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와 윤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사전의료의향서 관련 법제화의 필요성과 도입 및 시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를 탐구하고, 국내 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것에 기반 하여 사전 의료의향서의 필요성을 고찰하며 사전의료의향서 도입 및 법제 관련 국내외 현황 및 그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 1. 연구계기 1
  • 2. 연구문제 및 연구목적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1. 연명치료 관련 쟁점 5
  • 2. 연명치료 관련 법제 7
  • 가. 국외 법제 7
  • 나. 국내 법제 11
  • 다. 연명치료 관련 법제 논의 14
  • 제3장 사전의료의향서 윤리적 근거 16
  • 1. 환자 자율성 존중 16
  • 2. 환자 이익(선)의 증진 18
  • 제4장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DNR)현황 20
  • 1. 사전의료의향서 개념 및 도입배경 20
  • 2. 사전의료의향서 현황 분석 23
  • 3. 국내 심폐소생술 금지요청서(DNR)현황 30
  • 제5장 연구의 의의 및 한계 33
  • 참고문헌 34
  • ABSTRACT 38
  • 부 록 40
  • 부록 1 사전의료의향서 양식 40
  • 부록 2 중환자실 입실 동의서 양식 55
  • 부록 3 심폐소생술 금지 요청서 양식 5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고찰 / 류기환

    발행년 2019 

    • 조회 수 183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발행년 2013 

    • 조회 수 18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82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1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18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발행년 2017 

    • 조회 수 180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80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17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7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발행년 2015 

    • 조회 수 174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발행년 2019 

    • 조회 수 17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73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 송지환

    발행년 2017 

    • 조회 수 1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계숙

    발행년 2018 

    • 조회 수 17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17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발행년 2009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발행년 2019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6